연산군일기 영역 프로젝트

연산군일기-즉위년 12월 27일 3번째 기사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왕조실록』 영역
← Previous 연산군일기 Next →
연산 즉위년 12월 27일 2번째기사 연산 즉위년 12월 27일 3번째기사 연산 즉위년 12월 27일 4번째기사


원문

홍문관 부제학 성세명 등이 불사를 하지 말도록 서계하다

○弘文館副提學成世明等書啓曰:

我世祖大王, 常敎群臣曰: "予雖信佛氏, 然不欲勞民傷財, 後王不可法我。" 大行大王, 每於經筵, 敎曰: "予之不信佛敎, 爾等所知。" 夫以崇信佛敎, 如光廟而猶有是敎, 不信佛敎, 如大行而丁寧敎戒如是者, 皆爲後嗣計也。 今乃媚佛追薦, 則是不有祖訓也。 孔子曰: "三年無改於父之道, 可謂孝矣。" 上賓未幾, 遽爾自用, 敢改先志, 可謂孝乎? 況在正始之初, 中外咸仰, 以觀新化, 而反崇異道, 以示愚民, 虧損聖德, 無甚於此。

傳曰: "爾等謂予爲不孝耶? 予若行先王所不行之事, 而不遵先王之敎, 則言之可也。 今無遺敎, 祖宗朝所行之事, 予何獨不然。" 世明等書啓曰:

自昨日至今日, 累陳不已, 而迄無頷可竊惑焉, 大行王高明之德, 二十六年之間, 無有一事瑕玷, 而上賓之後, 遽加以非禮之事, 以累盛德, 甚非孝子事之如生之意也。 且今日, 所當觀法者, 不必遠求, 惟大行之初服是效耳。 大行之或爲先王追薦者, 誠以當先王崇信之後, 不忍遽改其志耳, 非其本意也。 今可獨循故事, 而忍違先志乎? 孝子之於親, 當思其所嗜, 思其所樂, 大行之所嗜、所樂者, 爲何事乎? 《詩》曰: "念玆皇祖, 陟降庭止。" 伏惟留心焉。

傳曰: "爲先王也。"

국역 및 영역

국역 영역
홍문관 부제학 성세명(成世明) 등이 서계(書啓)하기를,

"우리 세조 대왕께서 항상 신하들에게 ‘내가 비록 불교를 믿으나 백성을 괴롭히고 재물을 허비하기를 바라지 아니하니, 뒤의 임금들은 본보지 말라.’ 하셨으며, 우리 대행 대왕께서 매양 경연(經筵)에서 ‘내가 불교를 믿지 않음은 그대들이 아는 바이다.’ 하셨으니, 대저 불교를 믿음이 세조와 같은 분으로서도 오히려 이런 말씀이 계셨으며, 불교를 믿지 않음이 대행왕과 같은 분이 명백히 교훈하고 경계하기를 이와 같이 하신 것은 다 후사(後嗣)를 위한 것이온데, 지금 부처에게 아첨하여 추천(追薦)하는 것은 곧 선대의 교훈을 무시하는 것입니다. 공자는 ‘3년 동안 아버지의 법도를 고치지 말아야 효도라 할 수 있다.’ 하였는데, 승하(昇遐)하신 지 얼마 안 되어 문득 자기의 주장대로 감히 선왕의 뜻을 고치시니, 효도라 할 수 있으오리까. 더구나 정시(正始)하는 처음이니, 중외가 모두 우러러 새 정치를 바라볼 것인데, 도리어 이도(異道)를 숭상하여 어리석은 백성에게 보이시니, 성덕(聖德)을 손상함이 이보다 심할 수 없습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그대들이 나를 일러 불효라 하는가? 내가 만약 선왕이 행하지 않으시던 일을 행하여 선왕의 유교를 지키지 않는다면 그렇게 말할 수 있으나, 이제 불사를 하지 말라는 유교가 없으신데, 조종조에서 행한 일을 내가 어찌 홀로 그리하지 아니하겠는가."

하였다. 세명 등이 서계하기를,

"어제부터 오늘까지 여러 번 아뢰어 마지 않았으나, 아직도 허락하지 않으시니, 그윽이 의혹됩니다. 대행왕의 고명(高明)하신 덕으로 26년 동안에 한 가지의 하자(瑕疵)도 없었사온데, 승하하신 뒤에 문득 예도에 맞지 않는 일 때문에 그분의 거룩하신 덕에 누(累)를 끼치는 것은, 효자는 죽은 어버이를 살았을 때와 같이 섬긴다는 뜻에 너무도 어긋납니다. 또 오늘날 본볼 것은 반드시 먼 데서 구할 것 없이 오직 대행왕의 초년의 일이 바로 본받을 것입니다. 대행왕께서 혹 선왕을 위하여 추천(追薦)한 것은 왕이 숭상하던 나머지에 차마 갑자기 그 뜻을 고치지 못했을 뿐이요, 그 분의 본의(本意)가 아닙니다. 지금 지난 일만 따라서, 차마 어버이의 뜻을 어겨서야 되겠습니까. 효자는 어버이에게 대하여 그 즐기던 바를 생각하며, 그 좋아하던 바를 생각할 것인데 대행왕께서 즐기고 좋아하시던 것이 어떤 일이었습니까? 《시경(詩經)》에 ‘이 황조(皇祖)를 생각하니, 뜰에 오르내리시도다.’ 하였으니, 엎드려 원하옵건대 유의하소서."

하니, 전교하기를,

"선왕을 위함이다."

하였다.
Vice Minister (Bujehak) of the Office of Special Advisors, Seong Semyeong, and others submitted a memorial:

“Our Great King Sejo[역주 1] often taught his ministers and officers, saying:

‘Although I believe in the Buddha, I have no intention to bother my people by wasting their assets. My successors must not follow me as an example.’

Furthermore, whenever he held royal lectures, the late king would mention:

‘You know that I do not believe in Buddhism.’

Those who believe in Buddhism, such as King Sejo, left the preceding remarks despite being believers themselves; One who did not believe in Buddhism, such as the late king, clearly warned his people, emphasizing disbelief [among his criteria] when considering his successor. Now, your offering of a ritual to flatter the Buddha[역주 2], is certainly neglectful of your ancestors’ teachings.

Confucius said:

‘Keeping the way of your father for three years without changing it, that is called filial piety. ’

However, Your Highness is willfully diverging from your father’s way even though the period of mourning has hardly begun. How can this be called filial piety? Moreover, your reign has just begun and all eyes are fixed on your new policies. Against this expectation, if you manifest a belief in unorthodox doctrine, there could be no worse damage to your sacred virtue in the eyes of the people.

The crown prince responded:

“Are you saying that I am unfilial? If I am disobeying my father’s will by doing what he had not done in his lifetime, then you may be right. However, there is no doctrine passed down from the late king concerning this, and all my ancestors offered Buddhist rituals. How could I go against this convention?”

[Seong Semyeong] and others submitted a memorial:

“Yesterday and today we have repeatedly petitioned you, but you have not assented. This is concerning. The deceased king was so bright and virtuous that during the last twenty-six years there was not a single fault. Yet, after he passed away, a sudden impropriety [now] takes place, disgracing his sacred virtue. This is a far cry from the conduct of a filial son who respects his deceased father as if he were alive.

“Furthermore, concerning exemplary conduct [for today], there is no need to search far in the past for it. You need only look at the how the late king’s reign began. When he offered a Buddhist ritual to bless his father, that was to respect his father’s belief. He did not want to suddenly change [go against] his father’s will. This [offering of a Buddhist ritual] was not what he truly intended.

“Now, is it right to only follow the old custom and disobey your father’s will? A filial son should consider what his parents care for and enjoy. What did the late king care for and enjoy? It is written in the Book of Poetry (Shijing):

‘Thou didst think of my great grandfather, [Seeing him, as it were,] ascending and descending in the court. ’[역주 3]

We humbly ask you to keep this in mind.”

The crown prince replied:

“[What I do, I do] for my father.”


역주

  1. King Sejo (세조 世祖, 1417-1468, Jeonju Yi clan); seventh king of Joseon (r. 1455-1468); son of King Sejong and Queen Soheon; father of King Yejong
  2. This refers to chucheon (추천 追薦), a Buddhist blessing for the deceased.
  3. 念玆皇祖, 陟降庭止. English translation by James Legge. "Min Yu Xiao Zi(閔予小子)", Book of Poetry (詩經). Retrieved from Chinese Text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