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DHLab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求禮 鷰谷寺 東 僧塔碑) |
|
대표명칭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
---|---|
영문명칭 | East Stele of Yeongoksa Temple, Gurye |
한자 | 求禮 鷰谷寺 東 僧塔碑 |
주소 |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1018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153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鷰谷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비.
내용
개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연곡사에는 승려의 사리를 모셔놓은[1] 연곡사 동 승탑(국보 제53호), 연곡사 북 승탑(국보 제54호), 연곡사 서 승탑(보물 제154호) 등 3개의 승탑이 있는데, 이 비(碑)는 동 승탑 앞쪽에 있고, 높이는 1.2m이다.[2]
비문을 새긴 비신(碑身)은 임진왜란 때 없어져서 이 비의 정확한 주인은 알 수 없다.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인 귀부(龜趺)와 용의 형체를 새겨 장식한 비석의 머릿돌인 이수(螭首)만 남아 있다.[3]
비석 받침돌은 네 다리를 사방으로 쭉 뻗고 엎드린 용의 모습을 하고 있으나 사실성이 떨어지며, 잘려진 것을 복구해 놓아 부자연스럽다. 용의 등에는 새 날개 모양의 무늬를 조각해 놓아 새로운 느낌이다. 등 중앙에 비를 끼우도록 마련된 비좌(碑座)[4]에는 구름무늬와 연꽃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머릿돌은 용무늬를 생략하고 구름무늬만을 새겼으며, 꼭대기에는 불꽃에 휩싸인 구슬을 조각해 놓았다.[5] 용의 입에는 여의주가 물려있다.
규모면에서는 보다 작고 아담해지고, 양식적인 측면에서도 여러 가지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이 승탑비는 신라시대와는 다른 고려시대의 새로운 양식으로서 주목된다.[6]
이 비는 보물 제153호로 지정되어 있다.
비문
현재 이 비의 비문은 존재하지 않는다.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 구례 연곡사 | A는 B에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전체.PNG
동 승탑비 앞 모습[7]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뒷 모습.PNG
동 승탑비 뒷 모습[8]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여의주 문 모습.PNG
여의주 문 모습[9]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설명문.PNG
동 승탑비 설명문[10]
영상
- 전기찬, "전라 고려 구례 연곡사 북부도 동부도비 석주관성1", YouTube, 게시일: 2015년 6월 9일.
- OPEN TV, "(3D 입체영상)구례 연곡사 권역", YouTube, 게시일: 2016년 02월 08일.
주석
-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연곡사 동승탑비",
『두산백과』online . - ↑ "연곡사 동승탑비",
『두산백과』online . - ↑ 비신(碑身)을 세우는 대좌(臺座). 또는 비신을 꽂아 세우기 위하여 홈을 판 자리. 비좌",
『네이버 국어사전』online . -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김창균,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사진출처: 산길나그네,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다음 블로그 - 산길나그네가 찾은 옛님...』online , 작성일: 2015년 03월 13일. - ↑ 사진출처: 산길나그네,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다음 블로그 - 산길나그네가 찾은 옛님...』online , 작성일: 2015년 03월 13일. - ↑ 사진출처: 산길나그네,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다음 블로그 - 산길나그네가 찾은 옛님...』online , 작성일: 2015년 03월 13일. - ↑ 사진출처: 산길나그네,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다음 블로그 - 산길나그네가 찾은 옛님...』online , 작성일: 2015년 03월 13일.
참고문헌
- 김창균,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연곡사 동승탑비",
『두산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