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육진개척

DHLab
Tutor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6월 15일 (목) 12:13 판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육진개척
작가 김태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조선 세종 16년(1434) 이후 10여 년에 걸친 육진(六鎭)개척 당시 김종서 장군 지휘하의 조선군이 두만강 유역에서 여진족을 토벌하는 장면[1]을 담은 김태 화백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조선 세종은 1433년(세종15)에 동북방면의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김종서를 함길도도절제사에 임명하고, 무신인 이징옥을 앞세워 육진 개척을 추진하였다. 그리하여 1434년(세종 16)부터 10년간에 걸쳐 함경도 두만강 하류 지역에 군사상 요충지인 육진[2]을 설치하였고, 육진 개척으로 조선의 북쪽 경계가 두만강까지 완전히 이르게 되었다.
해당 작품은 김종서이징옥육진 개척을 통해 여진족을 정벌하는 모습을 담고있는데, 작품의 중앙에서 백마를 탄채 검을 빼든 장군은 김종서로, 갈색마를 타고서 그 뒤를 따르는 장군은 이징옥으로 추정된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두만강 하류 남안 유역으로, 작품 왼편 위쪽에 그려진 두만강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읽기

오류: 그림이 잘못되었거나 존재하지 않습니다.

지식 관계망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태 김태-육진개척 A는 B를 그렸다 1975년
김태-육진개척 김종서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김태-육진개척 이징옥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김태-육진개척 육진 개척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김태-육진개척 두만강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수도군단 김태-육진개척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0년 12월 31일-1991년 12월 30일
전쟁기념관 김태-육진개척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김종서 육진 개척 A는 B를 지휘하였다
이징옥 육진 개척 A는 B를 지휘하였다
세종 육진 개척 A는 B를 명하였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김태가 김태-육진개척를 제작하였다.
1990년 12월 31일-1991년 12월 30일 수도군단이 김태-육진개척을 대여하였다.
1434년-1444년 육진 개척이 시행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149271 126.9463594 수도군단이 김태-육진개척을 대여하였다
37.537122 126.977156 전쟁기념관이 김태-육진개척을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주석

  1.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e뮤지엄』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종성(鐘城), 온성(穩城), 회령(會寧), 경원(慶源), 경흥(慶興), 부령(富寧)의 여섯 진을 말함
  3.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4.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육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육진",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