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남성)
DHLab
혜 | |
복식구분 | 신 |
---|---|
착용신분 |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관련복식 | 단령, 도포 |
목차
정의
목이 없는 신인 혜는 조선시대 왕실 사람들과 양반이 일상복에 신던 고급 신이다. 주로 가죽과 비단으로 만들었다. 조선후기에는 신분제도가 완하되면서 신분이 낮은 중인들까지 널리 신게 되어 조선시대 남녀의 대표적인 신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일상 생활을 할 때 착용한다.
형태
신목이 없는 리와 비슷한 형태이다. 피혁, 풀, 삼, 포백, 종이, 나무 등 재료가 다양한데 재료나 장식에 따라 이름이 붙었다.[2]
기타
남성용 혜는 태사혜, 녹비혜, 흑피혜, 유혜 등이 있다.
혜와 함께 목이 없는 신의 명칭으로 리가 혼용되어 쓰였는데, 리가 더 이른 시기의 문헌에 등장한다. 혜는 리와 함께 통용되다가 점차 혜를 사용하는 비중이 더 늘어난 것으로 판단되며 목이 없는 신을 혜로 통칭하여 부른 것은 조선시대 들어선 뒤부터 였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혜(남성) | 왕 | A는 B를 착용하였다 |
혜(남성)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혜(남성)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혜(남성) | 갓 | A는 B에 착용한다 |
혜(남성)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최공호·박계리·고우리·진유리·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2015, 45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792쪽.
- ↑ 최공호·박계리·고우리·진유리·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2015, 46~4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