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 태안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련항목) |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
(차이 없음)
|
2017년 6월 15일 (목) 12:22 기준 최신판
곡성 태안사 (泰安寺) |
|
대표명칭 | 곡성 태안사 |
---|---|
한자 | 泰安寺 |
이칭 | 대안사(大安寺) |
주소 |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
문화재 지정번호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3호 |
문화재 지정일 | 1984. 2. 29 |
관리자 | 태안사 |
교구정보 |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 화엄사의 말사 |
건립시기 | 742년(경덕왕 1) |
창건자 | 신승(神僧) |
경내문화재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곡성 태안사 동종,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
|
정의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동리산(桐裏山)에 있는 절.
개요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 화엄사(華嚴寺)의 말사이다. 대안사(大安寺)라고도 한다.
742년(경덕왕 1)에 3명의 신승(神僧: 능력이 뛰어난 승려)이 창건하였고[1], 신라의 혜철(惠哲, 785-861)이 중창하여 대안사(大安寺)라 하고 선풍을 일으킴으로써 동리산문(桐裏山門)이 형성되었다.[2] 919년(태조 2) 광자대사(廣慈大師) 윤다(允多)가 중창하여 132칸을 중장했다.[3] 고려 초에는 송광사·화엄사 등 전라남도 대부분의 사찰이 이 절의 말사였으나, 고려 중기에 송광사가 수선(修禪)의 본사로 독립됨에 따라 사세가 축소되었다.[4] 1023년(고종 10)에는 당시 집권자인 최우가 고쳐 지었다.[5] 조선시대에는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원당(願堂)이 되어 조정의 지원을 받았으며, 1683년(숙종 9) 정심(定心)이 중창하였고, 1737년(영조 13) 능파각(凌波閣)을 지었으나, 6·25전쟁 때 대웅전을 비롯한 15채의 건물이 불타버렸으며, 근래에 들어와 중창불사가 있었다.[6] 이 절은 1925년 최남선(崔南善)이 찾아와 "신라 이래의 이름 있는 절이요, 또 해동에서 선종(禪宗)의 절로 처음 생긴 곳이다. 아마도 고초(古初)의 신역(神域) 같다."고 극찬한 곳이다.[7]
경내에는 혜철의 부도인 적인선사조륜청정탑(보물 제273호), 윤다의 부도인 광자대사탑(보물 제274호), 광자대사비(보물 제275호), 승무를 출 때 사용하던 태안사대바라(보물 제956호), 태안사동종(보물 1349호), 태안사일주문(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83호), 태안사삼층석탑(문화재자료 제170호) 등이 있다.[8]
태안사 경내 문화유산의 조성
건립시기 | 문화유산 | 특징 |
---|---|---|
861(경문왕 1)(추정)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谷城 泰安寺 寂忍禪師塔) | |
950년(광종 1)(하한연대)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谷城 泰安寺 廣慈大師塔) | |
950년(광종 1)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谷城 泰安寺 廣慈大師塔碑) | |
1447(세종 29), 1454(단종 2) |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谷城 泰安寺 靑銅 大鈸鑼) | 효령대군이 발원하여 만든 대발(大鉢)로, 1454년(단종 2)에 다시 개조 되었음[9] |
1457(세조 3), 1581(선조 14) | 곡성 태안사 동종(谷城 泰安寺 銅鍾) | 조선시대 전기 억불정책으로 불교가 많은 탄압을 받던 시기에 왕실의 도움없이 사찰 불사의 일환으로 조성됨.[10] 1457년 처음 주조하였으나 파손되어 1581년 다시 주조함 |
갤러리
답사 이후 추가 예정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곡성 태안사 | 구례 화엄사 | A는 B의 말사이다 | |
곡성 태안사 | 동리산문 | A는 B에 포함된다 | |
곡성 태안사 | 효령대군 | A는 B와 관련있다 | |
곡성 태안사 | 최남선 | A는 B와 관련있다 | |
곡성 태안사 | 이삼만 | A는 B와 관련있다 |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곡성 태안사 | A는 B에 있다 |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 곡성 태안사 | A는 B에 있다 |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 곡성 태안사 | A는 B에 있다 | |
곡성 태안사 동종 | 곡성 태안사 | A는 B에 있다 | |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 곡성 태안사 | A는 B에 있다 | |
태안사 명적암 | 곡성 태안사 | A는 B의 암자이다 | |
장군단 | 태안사 명적암 | A는 B에 있다 | |
신숭겸 | 장군단 | A는 B의 묘이다 | |
혜철 | 곡성 태안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윤다 | 곡성 태안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참고문헌
- 『전통사찰총서』 7(사찰문화연구원, 1996)
- 『명산고찰 따라』(이고운·박설산, 신문출판사, 1987)
- 『한국사찰전서』(권상로 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79)
주석
- ↑ "태안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 ↑ "태안사", 시공 불교사전.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 ↑ "태안사",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 ↑ "태안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 ↑ "태안사".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 ↑ "태안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 ↑ "태안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 ↑ "태안사".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 ↑ "태안사대바라", 한국사전연구사 한국불교미술대전.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 ↑ "곡성 태안사 동종".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