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Lab
(→내용) |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
(차이 없음)
|
2017년 6월 15일 (목) 12:22 기준 최신판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淸道 雲門寺 圓鷹國師碑) |
|
대표명칭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Woneung at Unmunsa Temple, Cheongdo |
한자 | 淸道 雲門寺 圓鷹國師碑 |
주소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16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윤언이(尹彦伊) |
서자 | 미상 |
각자 | 미상 |
승려 | 학일(學一) |
비문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문 |
|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사(雲門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원응국사 학일(圓應國師 學一, 1052-1144)의 탑비.
내용
개요
현재 비신을 받치는 부분인 귀부(龜趺)와 비신의 머릿돌인 이수(螭首)는 결실되었고,[1] 비신은 임진왜란 때 파손된 것을[2] 수리·복원하여 철 구조물 틀로 고정하였다.[3] 비신 상단에 "원응국사비명(圓應國師碑銘)"의 제액(題額)을 해서(楷書)로 양각하였다.[4]
건립 연대는 비문이 파손되어 알 수 없으나, 원응국사가 입적한 다음 해 고려 인종(仁宗)이 국사(國師)로 봉하고, 윤언이(尹彦頤)에게 비문을 짓게 하였다는 비문 내용으로 보아 대략 1145년 이후로 추정된다.[5][6]
탑비의 보호각은 1963년에 지어졌으며,[7] 1963년 보물 제316호로 지정되었다.[8]
비문
비신의 앞면에는 원응국사의 생애와 천태종을 개창하고 고려 인종(仁宗)의 왕사(王師)로 책봉된 내용과 이후 1144년에 운문사에서 입적한 내용들이 실려 있고,[9] 뒷면에는 문도들의 법명이 있다.[10]
서자(書者)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나,[11]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 『해동금석존고(海東金石存攷)』 등을 통해 탄연(坦然, 1070-1159) 스님이 글씨를 쓴 것으로 추정된다.[12]
운문사의 세 비각
운문사 범종루를 지나 경내로 들어서면 왼쪽에 운문사의 세 비각이 위치하고 있다. 세 비각 중 원응국사비는 가운데 있으며, 왼편에는 설송대사비, 오른편에는 운문사 중수기념비가 있다.[13]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학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1145년 이후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윤언이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고려 인종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청도 운문사 | A는 B에 있다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신증동국여지승람』, 『대동금석서』, 『해동금석존고』 | A는 B에 기록되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 ↑ 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 17 - 경북의 전통사찰IV』, 사찰문화연구원, 2001, 457-458쪽.
- ↑ "운문사 원응국사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25쪽.
-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24쪽.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 17 - 경북의 전통사찰IV』, 사찰문화연구원, 2001, 457쪽.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24쪽.
- ↑ 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 17 - 경북의 전통사찰IV』, 사찰문화연구원, 2001, 458쪽.
-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 17 - 경북의 전통사찰IV』, 사찰문화연구원, 2001, 458쪽.
-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25쪽.
참고문헌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22-29쪽.
- 사찰문화연구원, "운문사", 『전통사찰총서 17 - 경북의 전통사찰IV』, 사찰문화연구원, 2001, 457-45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