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Lab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
|
(차이 없음)
|
2017년 6월 15일 (목) 11:57 기준 최신판
고산구곡가 | |
한자명칭 | 高山九曲歌 |
---|---|
로마자명칭 | Gosangugokga |
영문명칭 | Nine poems of Gosan composed by Yi Yi |
작자 | 이이 |
작성시기 | 1578 |
역자 | 송시열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해독문 | 고산구곡가 (해독) |
중심기사 | 고산구곡도 |
기획기사 | 조선중기의 대표적 문인들과 한글 시가 |
정의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1]
내용
-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 주자(朱子)의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본떠서 지었다고 한다.(栗谷先生年譜) 그 첫수는 서곡(序曲)이고, 둘째 수부터 제1곡으로 시작하여 제9곡까지 읊었다. 즉 제1곡은 관암(冠岩), 2곡은 화암(花岩), 3곡은 취병(翠屛), 4곡은 송애(松崖), 5곡은 은병(隱屛), 6곡은 조협(釣峽), 7곡은 풍암(楓岩), 8곡은 금탄(琴灘), 9곡은 문산(文山) 등으로 나누어 각각 그곳의 경치를 한 수의 시조로 읊어 놓았다. 이황의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좋은 대조작이다.[2]
- 이이가 애초 한글[諺文]로 작성하였고, 이후 송시열(宋時烈)이 오언의 한역시로 번역하기도 했다.[3]
시각자료
- 한글팀 고산구곡가 언문 01.png
고산구곡가 한글(언문)
- 한글팀 고산구곡가 한역 01.jpg
송시열의 고산구곡가 한문번역시(율곡전서)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무이구곡도가 | 고산구곡가 | A는 B의 모델이다 | |
고산구곡 | 고산구곡가 | A는 B의 모델이다 | |
고산구곡가 | 고산구곡도 | A는 B의 모델이다 | |
고산구곡가 | 고산구곡도 | A는 B에 포함된다 | |
이이 | 고산구곡가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578년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578년 | 이이가 고산구곡가를 창작하였다. |
참고문헌
- 단행본
- 이민홍, 『사림파문학의 연구』, 형설출판사, 1985.
-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77.
- 논문
- 고정희,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의 언어적 차이와 시가사적 의의」, 『국어국문학』제141호, 국어국문학회, 2005.
- 권오성, 「율곡의 고산구곡가 율자보에 대한 소고」, 『제3회 국제학술회의논문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 이민홍, 「고산구곡가와 무이도가고 1·2」, 『개신어문연구』1·2, 충북대학교, 1981-1982.
- 온라인
주석
- ↑ 이응백·김원경·김선풍, "고산구곡가",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발췌·편집. 2016년 12월 27일 확인;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의 내용에서 발췌·편집. 2016년 12월 27일 확인.
- ↑ 이응백·김원경·김선풍, "고산구곡가",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발췌·편집. 2016년 12월 27일 확인;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의 내용에서 발췌·편집. 2016년 12월 27일 확인.
- ↑ 시각자료들의 출처는 다음과 같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3쪽;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소개된 『율곡전서』 수록 한역본 이미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