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행웃치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차이 없음)

2017년 6월 15일 (목) 12:02 기준 최신판


전행웃치마
이칭별칭 -
복식구분 의복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여성
관련복식 적의(翟衣), 원삼(圓衫)



정의

명(明)의 제도에는 없는 것이지만 조선에서 남자의 예복 일습 중 중단 위에 앞 3폭, 뒤 4폭의 상(裳)을 갖추듯이, 적의(翟衣) 원삼(圓衫)[1] 예복을 차림을 할 때 대란치마 위에 갖추어 입는 세 가닥 치마이다.


명(明)의 제도에는 없는 것이지만 조선에서 남자의 예복 일습 중 중단 위에 앞 3폭, 뒤 4폭의 상(왕실남성, 상(裳)을 갖추듯이, 적의(翟衣)나 원삼(圓衫) 등 예복을 차림을 할 때 스란치마 위에 갖추어 입는 세 가닥 치마이다 조선에서 남자 예복 차림을 할 때 스란치마 위에 갖추어 입는 세 가닥 치마이다. (정주영)



내용

복식구성

허리말기, 허리끈, 치마로 구성 되었다.

착용신분

왕실여성(황후, 왕비, 황태자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등이 착용 하였다.

착용상황

왕실여성들이 적의(翟衣) 원삼(圓衫)을 착용할 때 함께 착용 하였다.


형태

앞의 1자락과 뒤의 2자락을 따로 만들어 하나의 허리말기에 이어붙인다. 앞의 1자락은 직물 3폭을 붙여 만들고, 뒤의 2자락은 각각 2폭을 붙여 만든다. 뒷자락이 앞자락보다 길어서 착용시 뒤의 2자락이 바닥에 끌린다. 치맛자락의 위에서 아래까지 주름을 잡아준다. 치맛자락의 중하부에 금사를 넣어 짠 스란단이 달려 있다.[2]

기타

조선후기 기록에는 전행웃치마의 색이 남색 계열만 기록되어 있다. [3] 스란단의 무늬는 왕비가 용무늬, 왕세자빈과 왕세손빈은 봉황무늬이다.[4]

관련항목

참고문헌

주석

  1. 김소현, 『아름다운 시작』,「조선왕실의 적의」,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0, 174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42쪽.
  3.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8쪽.
  4.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4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