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한자표기 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주제 흉례(凶禮)
작성주체 국장도감(國葬都監)
의례담당자 임한호(林漢浩)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821년(순조 21)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정족산성)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어람용: 총 3책 525장(제1책 196장, 제2책 195장, 제3책 134장)
정족산성: 총 4책 691장(제1책 196장, 제2책 190장, 제3책 135장, 제4책 170장)
크기 어람용: 46.1×33.2
정족산성: 45.8×33.1
도설 79면(채색)
반차도 40면(제2책)(채색)



정의

1821년 효의왕후(孝懿王后)의 장례를 치르는 국장(國葬)[1]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효의왕후는 1821년 3월 9일 창경궁 자경전에서 승하하였다. 3월 13일 환경전빈전(殯殿)을 차렸으며, 9월 10일 발인하였다. 9월 13일 건릉(健陵)[2]에 안치되었다.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제1책)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제2책)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제3책)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454), (2455), (2453)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오대산본(奎 13647), 춘추관본(奎 13648), 강화부본(奎 13649)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예조본(K2-3043), (K2-3044), (K2-3045), (K2-304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상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821년 3월 9일 효의왕후창경궁 자경전에서 승하하였다
1821년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213759 126.9869674 사적 제206호인 건릉(健陵)은 정조효의왕후의 무덤이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반차도VR 추가 예정

주석

  1.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장례는 국장(國葬)이라하며, 세자와 세자빈 이하는 예장(禮葬)이라 한다.
  2. 원래 효의왕후의 능호는 정릉(靜陵)으로 정해졌지만 정조의 건릉(健陵)에 함께 안장되면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