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봉 안경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학봉 김성일 안경
()
대표명칭 학봉 김성일 안경
소장처 의성김씨 학봉종택
시대 16세기 후반
제작시기 16세기 후반
수량 1개



정의

학봉 김성일의 안경과 안경집으로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안경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다.

내용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의 안경과 안경집으로,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안경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대모(거북이 등껍질)로 안경태를 만들었고, 경첩을 가운데에 달아 반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었다. 안경 다리는 없으며, 대신 안경태에 구멍을 내가 끈을 달아 귀에 걸도록 되어 있다. 안경집에 안경을 반으로 접어 넣어 보관했으며, 안경집은 옆으로 비껴서 열 수 있었다. [1] 안경집은 피나무로 제작되었으며 겉면은 옻칠을 하고 놋쇠로된 배꼽장식을 달았다. 이는 우리나라의 공예품 제작방식과 동일하다. 렌즈는 수정을 가공하여 만든 것이다. 이규경의 『오주서종박물고변』에서 수정을 이용하여 안경을 만든다고 하고 있음 [2] 을 보아 김성일의 안경과 안경집은 조선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안경을 통해 임진왜란 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안경을 제작하고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의 사대부에게 '독서'가 지니는 의미는 매우 컸다. 책을 통해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치는 것이 사대부들의 주된 일이었기 때문이다. 때문에 시력이 약해지는 것은 사대부들에게는 치명적인 것이었으며 이를 극복해 준 것이 바로 안경이었다. 조선에서는 16세기 후반부터 안경을 사용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17세기에는 일부 상류층만이 사용했었으나 18세기에는 제작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계층이 안경을 사용하게 되었다. 조선에서 안경의 확산은 중국, 일본을 오갔던 사신행렬(연행사,통신사)과 관련이 깊다. 이 사신들이 여러 차례 안경을 조선에 수입하는데, 정조도 사신 행렬에게 안경 구입을 요청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시원(李是遠,1789-1866)은 『송서상서경조이상사부연(送徐尙書敬祖以上使赴燕)』에서 안경이 16세기 후반에 중국에서 유입되었으며 현재(1852년)에는 사람들이 흔하게 휴대하고 다닌다고 하고있다. 채지홍( 蔡之洪,1683-1741)은 『봉암집(鳳巖集)』의 「안경명(眼鏡銘)」에서 안경은 임진왜란 이후 일본에서 건너온 것으로 보고 있다. [3] 이익(李瀷,1681-1763)도 『성호전집』의 「애체경명(靉霴鏡銘)」에서 안경의 기능에 대해 '하늘을 대신하여 인(仁)을 행하였다'며 감탄하고 있다. 이현일(李玄逸,1627-1704)도 『葛庵集』의 「답이삼재(答李三宰)」에서 노년에 이관징(李觀徵,1618-1695)에게 안경을 선물받은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하고 있다. 윤기(尹愭,1741-1826)는 『무명자집(無名子集)』의 「증인멱안경(贈人覓眼鏡)」에서 독서와 글쓰는 작업을 위해 안경을 구비하는 것이 보옥보다 소중하다고 하며 안경을 얻기 바라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정약용(丁若鏞,1762-1836)은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의「시이자가계(示二子家誡)」에서 유배지에서 나쁜 시력에도 불구하고 저술 작업에 몰두할 수 있었던 것이 안경 덕분이라고 하고 있다. [4] 이렇듯 안경은 조선후기 사대부들에게 독서와 글쓰는 작업을 이어갈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물건이었다. 사대부뿐 아니라 침을 놓는 의원, 화가, 바느질하는 직공들도 사용할 정도로 안경의 사용은 점점 확대되었다. 18세기에 오면 군사들에게도 바람과 티끌로부터 눈을 보호하도록 풍안경(風眼鏡)을 지급한다. 이렇게 안경은 공부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 인식되었지만, 시간이 흘러 다양한 계층이 사용하면서 전에 없던 방향으로까지 그 활용이 확대되었다. [5]

안경은 사대부들 뿐만 아니라 왕들도 착용하였다. 왕은 보장을 갖추고 다른 사람에게 경외감을 주어야하기 때문에 아랫사람을 만날때 안경을 쓰면 불경하다고 여겼다. 시력이 매우 나빴던 영조는 안경을 사용했으나 신하들 앞에서는 착용하지 않았다.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도 눈이 나빴지만 영조는 사도세자가 안경을 쓰는 것을 탐탁지 않게 여거 세자에게 안경이란 물건의 존재자체를 알리지 않도록 했다. 손자인 정조도 눈이 나빠 여러차례 안경을 구했으며, 조정에 안경을 끼고 나가면 여러 사람들이 놀라기 때문에 쓰고 나갈 수가 없어 하소연하기도 했다. 또한 신하도 왕의 앞에서는 허락없이 안경을 착용할 수 없었고 민간에서도 젊은사람은 나이든 사람 앞에서 안경을 착용할 수 없었다. [6] 이와 관련해 재미있는 일화가 전해져온다. 김택영의 역사서 『한사경』에 나오는 조병구의 일화이다. 헌종의 외삼촌인 조병구(趙秉龜, 1801-1845)는 안경을 쓴 채로 헌종과 마주쳤고 헌종에게 크게 혼이 났다. 그 이후 조병구는 여동생인 신정왕후를 만나러 간 자리에서 안경을 쓴 채로 헌종과 마주쳤다. 결국 그는 극도의 불안감과 압박감으로 인해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이렇게 당시에 안경은 권위의 상징으로 여겨졌고 자신보다 지위나 연령이 높은 사람 앞에서 안경을 쓰는 것이 엄격히 금지됬다. 특히 신하가 왕 앞에서 안경을 쓰는 것은 대역죄였다. [7] 그러나 안경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19세기에는 하층민까지 안경을 쓸 정도로 대중화되었다. 처음에는 안경쓰는 것을 부끄러이 여겨 도포자락에 넣어 다녔지만, 점차 안경이 유행하면서 안경집을 허리춤에 매달아 다니게 되었다. 이에 맞춰 안경집도 자수, 상어가죽 등으로 고급스럽고 화려하게 변화해갔다. [8]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학봉 안경 안경 A는 B에 포함된다
김성일 학봉 안경 A는 B를 사용하였다
학봉 안경 의성 김씨 학봉종택 A는 B에 보관되어 있다
이시원 송서상서경조이상사부연 A는 B를 저술하였다
안경 송서상서경조이상사부연 A는 B에 언급된다
채지홍 봉암집 안경명 A는 B를 저술하였다
안경 봉암집 안경명 A는 B에 언급된다
조병구 안경 A는 B를 사용하였다
정조 안경 A는 B를 사용하였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6세기 후반 김성일학봉 안경을 사용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609771 128.669643 의성김씨 학봉종택학봉 안경이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영상

  • 역사채널e : 두 개의 눈(게시일:2013.01.04.)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시권(試券)』, 2015, 163쪽.
  2. 윤을요, 「조선시대 안경과 안경집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14,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4, 123쪽.
  3. 진재교, 「조선조 후기 안경(眼鏡)과 문화(文化)의 생성(生成) -안경으로 읽는 조선조 후기 문화의 한 국면-」, 『한국한문학연구』62, 한국한문학회, 2016, 266-269쪽.
  4. 진재교, 「조선조 후기 안경(眼鏡)과 문화(文化)의 생성(生成) -안경으로 읽는 조선조 후기 문화의 한 국면-」, 『한국한문학연구』62, 한국한문학회, 2016, 277-282쪽.
  5. 진재교, 「조선조 후기 안경(眼鏡)과 문화(文化)의 생성(生成) -안경으로 읽는 조선조 후기 문화의 한 국면-」, 『한국한문학연구』62, 한국한문학회, 2016, 293쪽.
  6. 김보람, 「한국의 안경 문화와 안경 디자인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7쪽.
  7. "'헌종의 남자' 조병구, 안경 하나로 목숨 잃게 된 사연은? (서프라이즈)", 『티브이데일리』, 2016년 4월 24일.
  8. 김보람, 「한국의 안경 문화와 안경 디자인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9-50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금복현, 『옛 안경과 안경집』, 대원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