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수기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추수기
영문명칭 A record of harvest written by the Yun family of Haenam
작자 미상
작성시기 을미년
간행시기 조선후기?
기탁처 해남윤씨 녹우당
소장처 해남윤씨 녹우당
유형 고문서
크기(세로×가로) 23.4×25.5㎝
판본 필사
수량 1章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을미년 10월 18일에 해남윤씨 댁에서 작성한 추수기秋收記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을미년 10월 18일에 해남윤씨 댁에서 작성한 추수기秋收記이다. 해남윤씨 댁에서 소유하고 있는 전답 가운데 씨덕이 등 5명이 소작하는 전답의 면적과 이에 대한 세를 기록하였다. 소작하는 전답의 현황은 씨덕이가 밭 7마지기와 밭 4마지기, 동인이 밭4마지기, 금 이가 밭 4마지기, 진양이가 논 1마지기 5되지기, 덕이가 논 2마지기 5되지기, 슈발이가 논 5되지기이다. 이에 대한 세는 밭의 경우에 보리 2말 5되이고 논의 경우에 쌀 5말이며, 올해부터 세를 받을 것이니 미수未收 없이 바치라고 하였다.[1]

추수기

추수기는 전년까지의 수확량과 징수액을 기록한 장부로서 대부분의 지주들은 추수기를 참고하여 그 해의 소작료액을 정했다. 이는 도지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전라도에서 주로 시행되었다.[2] 이 자료는 을미년 배지라고도 불리는데 본문의 내용이 각각 공납을 바치라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을 보면 추수기와 같은 장부보다는 배지의 형식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해남윤씨 추수기 A는 B를 저술했다
추수기 씨덕이 A는 B를 언급했다
추수기 둥이 A는 B를 언급했다
추수기 금택이 A는 B를 언급했다
추수기 진양이 A는 B를 언급했다
추수기 덕이 A는 B를 언급했다
추수기 슈발이 A는 B를 언급했다
씨덕이 해남윤씨 A는 B에 소속된다
둥이 해남윤씨 A는 B에 소속된다
진양이 해남윤씨 A는 B에 소속된다
덕이 해남윤씨 A는 B에 소속된다
슈발이 해남윤씨 A는 B에 소속된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추수기 A는 B를 소장하였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을미년 해남 윤씨가에서 추수기를 작성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추수기가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26쪽.
  2. '도지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논문
    • 최원규,「19.20세기 海南 尹氏家의 農業 경영과 그 변동」,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 문숙자, 「조선후기 兩班家系와 地域民의 관계 및 그 변화양상 : 해남윤씨 고문서를 중심으로」, 『고문서연구』 제 48집, 한국고문서학회, 2016.

유용한 자료

  • '도지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