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섭-고려대장경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려대장경
작가 최대섭
제작연도 1977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종교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고려대장경을 주조하는 모습을 그린 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현존하는 한역대장경(漢譯大藏經)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는 것은 바로 팔만대장경으로 알려진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이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과 교장(敎藏),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을 통틀어 고려대장경이라고 부른다. 본 기록화는 고려대장경 중 어떤 것을 대상으로 하였는지 정확히 알 수 없기에 모두 소개하였다.

초조대장경

초조대장경은 고려(高麗) 현종(顯宗, 1010~1031)대에 외적의 침입을 물리치기 위한 염원으로 1011년부터 북송판 대장경을 받아들여 판각하기(覆刻)하여 1029년에 완성하였다. 그 후 문종(文宗, 1047~1082)대에 거란 대장경[契丹大藏經]이 유입되자 북송판 대장경에 수록되지 않은 경전들을 간행하여 1087년에 완성함으로써 초조대장경의 정장(正藏)이 완성되었다. 그리고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20여 년 동안 중국, 일본, 우리나라 제가의 장서 1000여 부 5000여 권을 수집하여 분류 정리하고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의 목록을 편찬하였고, 이에 의거하여 초조대장경의 속장(續藏)인 고려 교장(敎藏)을 간행하였다. 그러나 팔공산(八公山) 부인사(符仁寺)에 보관되어 있던 초조재장경의 경판(經板)은 1232년 몽골의 침입으로 모두 소실되었다.

재조대장경

고려 고종(高宗) 24년(1237)부터 동 38년(1251) 9월에 이르기까지 16년 동안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의 제작이 이루어졌다. 고려는 대장도감(大藏都監)의 본사(本司)를 강화에 두고 분사(分司)를 남해에 설치하여 판각을 진행하였다. 당시 개태사(開泰寺)의 승통(僧統) 수기(守其)는 북송본과 거란본 및 고려대장경 초조본(初雕本)을 대교하여 오류를 정정하는 경문교감(經文校勘)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그 교감의 결과를 『교정별록(校正別錄)』 30권에 기록하였다. 이와 같이 고종 대에 완성을 본 고려 재조대장경은 역대의 모든 대장경 중 가장 정확하고 완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재조대장경은 남해의 분사대장도감에서 조성됐으며, 강화도 대장경판당에 보관됐다가 태조 7년(1398) 해인사로 옮겨졌다.


시각적 안내

오류: 그림이 잘못되었거나 존재하지 않습니다.

관련 민족기록화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대섭 최대섭-고려대장경 A는 B를 그렸다 1977년
정부기록 보존소 최대섭-고려대장경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6월 9일-1992년 6월 8일
최대섭-고려대장경 고려대장경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고려대장경 재조대장경 A는 B를 포함한다
고려대장경 초조대장경 A는 B를 포함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7년 최대섭이 최대섭-고려대장경을 그렸다.
1991년 6월 9일-1992년 6월 8일 정부기록 보존소가 최대섭-고려대장경을 대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19518 127.099355 정부기록 보존소가 최대섭-고려대장경을 대여하였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사진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89-9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