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역사문화자원의 시맨틱 데이터 기반 지식 콘텐츠 개발 연구 - 목포근대역사문화공간을 중심으로
목차
지역 역사문화자원의 시맨틱 데이터 기반 지식 콘텐츠 개발 연구 - 목포근대역사문화공간을 중심으로
김광우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 박사과정)
연구 개요
연구 목적
지역 역사문화자원의 체계적인 보전과 일원적인 관리를 효율화하고, 지역 역사문화자원의 활용을 위한 인문지식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반으로 지역 역사문화자원의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지역 역사문화자원의 조사와 활용에 관한 방법은 <향토문화전자대전>과 <지역문화원>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종이책의 디지털화(문헌의 정보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은 그 지역민들의 공통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기에 고유한 향토색이 있으며, 한편으로는 국가유산의 체계 아래서 일원적인 관리가 이루어져하는 양면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담을 수 있는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서 전문연구자에게 연구자료의 접근성을 높이고, 일반 이용자에게는 지역의 역사에 흥미를 갖도록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단체와 시설, 무형유산과 인물 등 연결 기준이 모호한 국가유산에 관한 <문화유산 온톨로지>를 명시적으로 새롭게 구성하고, 지역에서 축적한 역사자원(문헌자원 조사결과)과 디지털 지식자원(텍스트, 사진, 도면, 영상 등)을 낭비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인 역사문화자원 아카이브 플랫폼의 설계방법과 구현,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역사문화자원의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은 예산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역사문화자원 플랫폼은 지역의 역사를 공유하고 확장할 수 있다. 지역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국가유산 데이터베이스와 통합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과 협업하여 국가유산 통합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지역 고유의 향토색을 강조한 차별적인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지역민 공통의 역사의식을 고취하거나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해외 한국학 관심자들에게 훌륭한 교육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 논문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 방법 3) 선행연구 분석 Ⅱ. 역사문화자원의 조사 및 수집 1. 목포의 지역적 특성 1) 근대도시 목포의 형성 2) 근대도시 목포의 이중성 2. 목포 역사문화자원 조사 1) 조사범위 2) 조사 대상 가. 건축자원 나. 인물 다. 단체 라. 사건 3) 조사 방법 가. 문헌조사 나. 실측조사 4) 조사 결과 가. 역사자원 나. 건축자원 3. 목포 역사문화자원 수집 1) 자원의 수집 2) 연구자원의 분류 3) 주요 연구자원 가. 문화유산 나. 역사자원 다. 건축자원 라. 3D 모델 대상 건축물 Ⅲ. 역사문화자원 아카이브 플랫폼 설계 1. 아카이브 플랫폼 1)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2) 스토리텔링 플랫폼 2. 지식 콘텐츠 편찬 1) 지식 편찬자(Curator) 2) 콘텐츠 편찬 시스템 3. 온톨로지 설계 1) 문화유산 온톨로지 2) 클래스 설계 3) 관계성 설계 Ⅳ. 역사문화자원 아카이브 플랫폼 구현 1. 디지털 큐레이션 1)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 2) 역사 지도(historical map) 3) 메타버스(Metaverse) 2. 디지털 스토리텔링 1) 정의도시 목포 2) 근대소시 목포 3) 예술도시 목포 Ⅴ. 역사문화자원의 활용 1. 인공지능과 시맨틱 데이터 1) 인공지능과 문화유산 2) 문화유산 빅데이터 2. 교육 프로그램 1) 지역학 교육 2) 해외 한국학교육 Ⅵ. 결론 및 제언
발표 자료 (PDF Download)
중간발표 <ppt>
지역 역사문화자원의 시맨틱 데이터 기반 지식 콘텐츠 개발 연구 - 목포근대역사문화공간을 중심으로
시맨틱 데이터 구현 예시
- 목포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