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학연
DHLab
정학연 | |
한자명 | 丁學淵 |
---|---|
이칭 | 자 치수(穉修), 호 유산(酉山), 별호 열상어옹(洌上漁翁) |
본관 | 나주(羅州) |
생몰년 | 1783년~1859년 |
시대 | 조선 |
성격 | 학자 |
대표저서 | 삼창관집(三倉館集),척독신재(尺牘新裁) |
유형 | 인물 |
정의
조선 정조 때의 문관으로, 자는 치수(穉修), 호는 유산(酉山),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정약용의 아들이며,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를 지은 정학유의 형이다.
내용
정학연은 정약용의 아들이자 제자로서 다산초당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면서 서울 중앙 학계와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였다. 그는 정약용의 사후에도 정약용의 제자 이시헌 등과 지속적으로 소식을 나누었는데, 1857년 11월 21일 정학연이 이시헌에게 보낸 편지가 이를 증명한다 ☞ 편지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김현)
.
25px | ...보내온 글에 서폭 가득 넘치는 것은 온통 지난날을 말하고 우의를 얘기하는 말뿐이어서 편쳐 읽는 동안 마음이 뭉클하여 맑은 눈물이 눈에 어리기까지 하였소. 다만 안타깝기는 그대가 이쪽으로 올라오지 못하고 나는 여유가 없어 이생에서 서로 만나 손을 잡아보기는 마치 까마귀의 머리가 희어지고 황하의 물이 맑아지는 것과 같다 하겠소. 그러니 이를 어찌하오. ... | 25px |
출처: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p.148-149 |
그의 대표작으로는 한시 추침(秋砧, 가을 다듬이 소리)이 있다.
25px |
百濟城高一雁飛 백제성고일안비 |
25px |
출처: "추침", 한시작가작품사전, |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학연 | 정약용 | A는 B의 아들이다 | |
정학연 | 정학유 | A는 B와 형제이다 | |
정학연 | 이시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정학연 | 다산초당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4.578880 | 126.746931 | 다산초당은 정학연과 관련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