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모
DHLab
전모 | |
한자표기 | 氈帽 |
---|---|
이칭별칭 | 牋帽 |
복식구분 | 관 및 쓰개 |
착용신분 | 궁녀, 기녀 |
착용성별 | 남성 |
관련복식 | 저고리, 치마, 가리마 |
목차
정의
조선시대 기녀 등 특수층의 여성이 외출할 때나 말을 탈 때 쓰던 기름먹인 유지로 만든 삿갓형의 쓰개이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궁녀, 기녀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전립은 외출할 때나 말을 탈 때 착용한다.
형태
우산 처럼 살을 대어 펼쳐진 모부의 겉에 기름 먹인 유지(기름종이)를 발라 그 위에 나비와 박쥐문양, '수(壽), 복(福), 귀(貴), 부(富)' 등의 글자를 넣어 화사하게 장식하였다.
안쪽에는 머리둘레에 맞춘 둥근 테두리(미사리)를 받쳐서 쓰기에 편하도록 하였고, 미사리의 좌우에 끈을 달아 턱밑에 매면 얼굴을 살짝 가리게 된다.[2]
기타
풍속화에서는 검정이나 자주색 천으로 만든 사각 형태의 쓰개인 가리마를 머리에 얹고 그 위에 전모를 겹쳐 쓴 다음 좌우의 끈을 턱 밑에 매어 착용한 기녀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전모 | 궁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전모 | 가리마 | A는 B에 착용한다 |
전모 | 등록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4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5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