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관
적관 | |
한자표기 | 翟冠 |
---|---|
이칭별칭 | - |
복식구분 | 관 및 쓰개 |
착용신분 | 왕비 |
착용성별 | 여성 |
관련복식 | 대수, 적의 |
목차
정의
조선시대 왕비가 대례복인 적의를 입을 때 갖추어 쓴 예장용 관이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왕비가 착용하였다.
착용상황
국가의 큰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봉을 받을 때 착용하였다. [2] 등 착용.
형태
적관은 반원형태로 대나무살이나 금속실을 엮어 그 틀을 만든 후 그 위에 온갖 장식을 올린 후 금비녀[金簪]와 금으로 만든 꿩 장식[금적(金翟)] 등을 꽂아서 고정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금적은 결자(結子)라고 하는 화려한 구슬 꾸러미를 물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관의 가장 아래 부분은 비취의 깃털로 장식된 구권(口圈)을 두르고 구권 위에는 여러 개의 보전화(寶鈿花)를 올렸는데, 이와 같은 양식은 대수의 장식인 대요반자에서도 발견된다.[3] 조선시대에 명으로부터 사여받은 주취칠적관(珠翠七翟冠)은 7마리의 꿩장식으로 꾸며져있으며 대한제국시기의 구룡사봉관(九龍四鳳冠) 9마리의 용과 4마리 봉황으로 꾸며져 있으며 사모의 뿔과 같은 형태의 박빈(博鬢)이 더해져 있다.
기타
조선시대에는 태종 3년(1403)에 처음으로 왕비의 관복 일습이 사여되면서 주취칠적관(珠翠七翟冠)을 받았고 이를 시작으로 세종, 연산, 인종대를 제외하고 인조 3년(1625)까지 사여된것으로 보인다.[4] 대한제국시기에 고종이 황제국을 선포하면서 『대한예전』에는 중국 황후의 관모 제도와 같은 구룡사봉관(九龍四鳳冠)을 착용하도록 새로 제정하였으나 시행 되었는지의 여부는 알 수 없다. 임진왜란 이후 명나라가 멸망하고 더 이상 관복을 사여 받을 수 없게 되면서 적관 대신 체발과 비녀를 이용하여 대수(大首)로 정착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적관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적관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적관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적관 | 홍장삼 | A는 B에 착용한다 |
적관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14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
- ↑ 김지연·홍나영, 「조선시대 적관(翟冠)에 관한 연구」『服飾』60권 7호, 한국복식학회, 2010, 85쪽.
- ↑ 김지연·홍나영, 「조선시대 적관(翟冠)에 관한 연구」『服飾』60권 7호, 한국복식학회, 2010, 79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김지연·홍나영, 「조선시대 적관(翟冠)에 관한 연구」『服飾』60권 7호, 한국복식학회,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