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의
DHLab
장의 | |
한자표기 | 長衣 |
---|---|
이칭별칭 | 장옷 |
복식구분 | 의복 |
착용신분 | 외명부 |
착용성별 | 여성 |
관련복식 | 저고리(여성), 치마 |
목차
정의
조선시대 여성들이 바깥출입을 할 때에 착용한 겉옷으로 조선후기 내외용(內外用) 쓰개로 용도가 바뀐다.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외명부 등 일반 여성들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장의는 조선 초기부터 중기에 이르기 까지 남녀 모두가 착용하던 외의의 하나였다. 여자아이들도 성인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18세기 이전까지는 외의로 장의를 입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진주하씨 묘에서 출토된 현풍곽씨 집안의 언간 편지 중에 딸아이의 외출에 자주 빛 장옷을 입히도록 한 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다.[1]
형태
조선중기까지의 장의 형태는 깃 모양은 직사각형의 목판깃이고, 겉섶과 안섶이 좌우 대칭형으로 진동 아래에는 삼각무를 달아 기능적인 면과 장식적인 효과를 더했다. 조선후기가 되면 외의로서의 남자 장의 차림은 그 수요가 줄었고 여자의 장의는 장옷이라 불리며, 내외용의 의미를 갖는 얼굴을 가리는 용도(폐면용)의 쓰개로 용도가 변하였다. 조선 후기 내외용으로 사용된 장옷은 깃의 형태가 좌우 동형으로 초록색 무명이나 명주로 만들고 안은 자주색을 사용했는 수구에 흰색 거들지를 달았고, 동정 대신 넓은 흰 헝겊을 대어 이마 위 정수리에 닿도록 하였다. 깃 아래 양쪽에 이중 고름이 달려 있어 손으로 잡아 여미도록 하였다. 썼을 때에 머리가 닿는 부분에는 흰색의 천을 덧댄 것도 있다.[2]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장의 | 외명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장의 | 치마 | A는 B에 착용한다 |
장의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06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05~60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