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례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왕세자입학례는 공자에게 작헌례를 행하고 성균관에 입학하여 성리학 이념을 수호하고 유교정치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뜻을 밝히는 의식이다.[1][2]

내용

  • 『국조오례의』의 길례 「왕세자작헌문선왕입학의(王世子酌獻文宣王入學儀)」에서 출궁과 작헌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으며, 가례 「왕세자입학의(王世子入學儀)」에 입학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 왕세자입학례의 시원[4][5][6]
    • 입학이치(入學以齒), 치양지례(齒讓之禮), 서치(序齒)
    • 왕세자가 나이의 순서에 맞게 예를 행하는 것에서부터이다.
    • 왕세자가 입학하여 나이순으로 자리에 앉아 사양하는 예[禮讓]을 행함으로써 부자의 도리와 군신의 의리, 장유의 절도의 세 가지 선을 깨닫게 된다고 하였다.

王太子와 王子로부터 나라의 俊選에 이르기까지 입학하여 나이 순서대로 한다.[7]

한가지로 세 가지 좋은 것을 모두 얻는 자는 오직 세자뿐이다. 그것은 국학에서 나이에 따라 행하는 것이다. 세자가 국학에서 나이에 따라 행하는 것을 보고 사람들이 말하기를 장차 우리 의 임금 될 분이 우리와 더불어 나이에 따라 양보하는가? 말하기를 부친이 있으니 즉 그렇게 예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사람들이 부자의 도를 알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장차 우리의 임금이 될 분이 우리와 더불어 나이에 따라 양보하는가? 말하기를 군주가 있으니 그렇게 예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사람들이 군신의 의를 아는 것이다. 세 번째로 장차 우리의 임금이 될 분이 우리와 더불어 나이에 따라 양보하는가? 말하기를 어른을 어른답게 대우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사람들이 장유의 절도를 아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버지가 있으며 곧 아들이 되고 임금이 있으면 곧 신하가 되고 아들과 신하의 예절을 지키는 것은 임금은 높이고 어버이를 가까이하는 것이다. 그래서 부자의 도리를 배우고 군신의 의리를 배우고 장유의 차례를 배우게 되는데 부자 군신 장유의 도리가 이루어지면 나라가 다스려진다고 하였다. 악정(樂正) 학업을 맡고 부사(父師)는 덕을 이루어 주는 것을 맡았다. 한사람이 선량해지면 온 나라가 그 때문에 다스려진다 하였는데 이는 세자를 두고 한 말이다.[8]

거행된 입학례 목록[9][10][11][12]

일시 입학자(나이) 지위 박사 장명유생 기록된 의식명 기록(링크)
1403.4.8(태종3) 양녕대군(10) 원자 성균관 사성(司成) 설칭(薛偁) 알문묘(謁文廟)
속수례(束脩禮)
입학의(入學儀)
추후 기입
1421.12.25(세종3) 문종(8) 왕세자 성균관 사성(司成) 탁신(卓愼) 입학의(入學儀)
속수의(束脩儀)
출궁(出宮) 작헌(酌獻)
추후 기입
1430.5.17(세종12) 진평대군(14)-세종2남
안평대군(13)-세종3남
임영대군(13)-세종4남
대군 입학(入學) 추후 기입
1436.4.16(세종18) 광평대군(12)-세종5남
금성대군(11)-세종6남
대군 입학(入學) 추후 기입
1436.4.17(세종18) 화의군(12)-영빈강씨 소생 입학(入學) 추후 기입
1448.9.1(세종30) 단종(8) 왕세손 예문제학 윤상(尹祥) 입학의(入學儀)
속수의(束脩儀)
출궁(出宮) 작헌(酌獻)
추후 기입
1453.4(단종1) 도원군(16)-세조장남(덕종) 입학(入學) 추후 기입
1457.12.24(세조3) 예종(8) 왕세자 대제학 최항(崔恒) 알문묘의(謁文廟儀)
입학의(入學儀)
속수의(束脩儀)
작헌(酌獻)
추후 기입
1487.2.29(성종18) 연산군(12) 왕세자 달성군 서거정(徐居正) 입학(入學) 추후 기입
1504.3.4(연산10) 황(𩔇)(8)-폐세자 왕세자 대제학 김감(金勘) 입학(入學) 추후 기입
1522.10.25(중종17) 인종(8) 왕세자 대제학 이행(李荇) 작헌례(酌獻禮) 추후 기입
1560.9.12(명종15) 순회세자(10)-명종장남 왕세자 대제학 홍섬(洪暹) 작헌례(酌獻禮) 추후 기입
1597.5.16(선조30) 광해군(23) 왕세자 지성균관사 이덕형(李德馨) 입학례(入學禮) 추후 기입
1610.5.28(광해2) 지(祬)(13)-폐세자 왕세자 이정구(李廷龜) 작헌례(酌獻禮) 추후 기입
1625.10.13(인조3) 소현세자(14)-인조장남 왕세자 대제학 김류(鎏) 이행진(李行進) 입학지례(入學之禮)
작헌례(酌獻禮)
입학례(入學禮)
추후 기입
1645.10.12(인조23) 효종(27) 왕세자 대제학 이식(李植) 조귀석(趙龜錫) 입학례(入學禮)
작헌례(酌獻禮)
추후 기입
1652.4.12(효종3) 현종(12) 왕세자 대제학 채유후(蔡裕後) 김수흥(金壽興) 알문묘(謁文廟)
입학례(入學禮)
추후 기입
1669.8.25(현종10) 숙종(9) 왕세자 대제학 조복양(趙復陽) 조상우(趙相遇) 작헌례(酌獻禮) 입학례(入學禮)-실록
입학례(入學禮) 작헌례(酌獻禮)-춘방일기
추후 기입
1695.3.12(숙종21) 경종(8) 왕세자 대제학 박태상(朴泰尙) 이관명(李觀命) 작헌례(酌獻禮) 추후 기입
1722.9.18(경종2) 영조(29) 왕세제 대제학 조태억(趙泰億) 조귀명(趙龜命) 입학(入學) 추후 기입
1727.3.19(영조3) 진종(9) 왕세자 대제학 이의현(李宜顯) 남유상(南有常) 입학(入學) 추후 기입
1742.3.26(영조18) 사도세자-영조차남 왕세자 대제학 이병상(李秉常) 윤득민(尹得敏) 입학(入學)
작헌례(酌獻禮)
추후 기입
1761.3.10(영조37) 정조(10) 왕세손 대제학 이양택(李陽澤) 홍용한(洪龍漢) 작헌례(酌獻禮)-실록
작헌례(酌獻禮)
입학례(入學禮)-일성록
추후 기입
1817.3.11(순조17) 효명세자(9)-순조장남 왕세자 전대제학 남공철(南公轍) 김홍근(金弘根) 작헌례(酌獻禮)
입학례(入學禮)
추후 기입
1882.1.10(고종19) 순종(9) 왕세자 대제학 민태호(閔台鎬) 민영돈(閔泳敦) 작헌례(酌獻禮)
입학례(入學禮)
추후 기입

주석

  1. 이민주, 「효명세자의 일생을 통해 본 가례복식」, 『조선 왕실의 가례2』,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p346.
  2. 임민혁,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역사와 실학』 제43집, 2010, p63.
  3. 신병주, 『조선평전』, p56, 글항아리, 2011.
  4. 임민혁,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역사와 실학』 제43집, 2010, p63~64.
  5. 정희정, 「조선시대 왕세자 입학례 절차와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p.13~19.
  6. 김문식,「조선 왕실의 입학례 연구」,『조선 왕실의 가례2』,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p54~55.
  7. 『禮記』권5 「王制」: 王太子, 王子, 群后之太子, 卿大夫、元士之適子,國之俊選 皆造焉. 凡入學以齒。
  8. 『禮記』권3 「文王世子」 : 行一物而三善皆得者,唯世子而已。其齒於學之謂也。故世子齒於學,國人觀之曰:「將君我而與我齒讓何也?」曰:「有父在則禮然,然而眾知父子之道矣。」其二曰:「將君我而與我齒讓何也?」曰:「有君在則禮然,然而眾著於君臣之義也。」其三曰:「將君我而與我齒讓何也?」曰:「長長也,然而眾知長幼之節矣。」故父在斯為子,君在斯謂之臣,居子與臣之節,所以尊君親親也。故學之為父子焉,學之為君臣焉,學之為長幼焉,父子、君臣、長幼之道得,而國治。語曰:「樂正司業,父師司成,一有元良,萬國以貞。」世子之謂也。
  9. 정희정, 「조선시대 왕세자 입학례 절차와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p.44.
  10. 김문식,「조선 왕실의 입학례 연구」,『조선 왕실의 가례2』,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p60~61.
  11. 이원호, 「조선왕조 왕세자교육」,『조선시대 교육의 연구』, 믿음사, 2002, p.46~47.
  12. 문화콘텐츠닷컴:왕세자 행입학례의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