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초학
여자초학 | |
한자명칭 | 女子初學 |
---|---|
로마자명칭 | Yeoja chohak |
영문명칭 | A Korean book for the education of women written by Kim Jongsu for his daughter |
작자 | 김종수 |
간행시기 | 1797년 |
소장처 | 의성김씨 학봉종택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26.0×24.9㎝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권 |
표기문자 | 한글 |
목차
정의
김종수(金宗壽, 1761~1813)가 맏딸을 위하여 여성으로서 익히고 지켜야 할 사항들을 간추려 한글로 쓴 책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김종수(金宗壽, 1761~1813)가 맏딸을 위하여 여성으로서 익히고 지켜야 할 사항들을 간추려 한글로 쓴 책이다. 첫 장에는 이 책을 쓴 경위에 관한 기록이 있다. “나는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가르침을 받들지 못하여 평생 통한이 깊었도다. 너를 가르쳐 아비의 교훈을 받들게 하려 하니 내 뜻을 따라 어긋나지 않으면 자식의 도리를 하는 것이로다. 정사년 11월에 아비는 장녀에게 주노라.” 이 기록에 이어 여성의 행실 규범을 항목별로 나누어 기록했는데, 몸가짐을 비롯해 음식, 의복, 제사, 접빈객, 태교, 여공 등으로 내용이 다양하다. 이외에 의성김씨 세계(世系), 기일(忌日), 절일(節日), 복제(服制), 육갑(六甲), 수법(數法), 생일(生日) 등으로 알아두어야 할 기본 지식들도 포함하였다. 이 중 <생일>편의 ‘나는 신사년 10월 22일 술시, 내 모친은 신사년 7월 초6일 묘시’라는 기록을 통하여 글쓴이는 김종수, 맏딸은 최운석(崔雲錫)에게 시집 간 딸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 장에는 “정사년 11월 25일에 시작하여 12월 초7일에 마쳤다. …… 경계하는 글만 보고 잊지 않으면 내가 열심히 쓴 마음을 저버리지 않는 자식이 될 것이니 조심할지어다.”라 했는데, 이를 통해 필사 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1]
『여자초학』의 내용 구성
『여자초학』은 크게 부덕을 서술한 부분과 조선의 역사와 풍물을 서술한 부분, 선대의 기일을 비롯한 복제, 육갑, 수법 및 가족의 생일을 기술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가장 중심을 두어 서술한 부분은 부덕에 대한 것으로서 언행, 음식, 기명, 의복, 어노, 제사접빈 등 부녀자와 관련된 일상의 모든 사안을 망라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안을 관통하는 큰 도리는 부덕의 순함 즉, 무조건적인 복종이 아닌 이치에 순종하는 순리였다. 이는 김성일의 정신을 계승해온 예법지가(禮法之家)의 일원이라는 그의 자긍심이 표출된 것이다. 김종수는 이러한 면모를 유지하려면 자녀교육, 특히 출가할 딸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여겼으며 부행(婦行)의 지침을 삼기 위해 이 책을 저술하였다.
역사와 풍물을 서술한 부분에서는 고대로부터 삼국, 신라, 고려로 이어지는 통사와 8도의 역사와 지리, 문화를 설명했는데 이 중 경상도의 비중이 단연 높다. 이는 이황-이언적에서 이어지는 영남학맥의 계승자인 김종수와 당시 영남학파의 인식이 잘 드러난 예로 볼 수 있다. [2]
학봉가의 여성 교육
김성일로 대표되는 학봉가의 여성 교육은 특징적인 변화 양상을 갖고 있는데 김주국이 『 학봉 김성일 행장』을 지어 가문의식을 고취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여성 스스로 몸가짐을 단속하도록 했다면 김종수의 『여자초학』은 구체적으로 여성의 바른 도리에 대해 언급하여 보다 직접적인 교육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김종수는 영남 학파의 거두인 이상정의 제자이며 학봉정신의 수용 및 발양에 부심했다. 그는 김성일-김집-김주국을 통해 이어졌던 여성교육에 천착하여 『여자초학』을 저술하였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종수 | 여자초학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797년 |
최운석 | 김종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김주국 | 김광찬 | A는 B의 어버이이다 | |
김광찬 | 김종수 | A는 B의 어버이이다 | |
김주국 | 학봉 행장 언해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770년 |
학봉 행장 언해 | 여자초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이상정 | 김종수 | A는 B의 스승이다 | |
의성김씨 학봉종택 | 여자초학 | A는 B를 소장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797년 | 김종수가 결혼하는 맏딸을 위해 여자초학를 저술했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609771 | 128.669643 | 의성김씨 학봉종택에 여자초학이 소장되어 있다. |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89쪽.
- ↑ 김학수, 「조선시대 사대부士大夫 가풍家風의 계승 양상 연구- 의성김씨 학봉가문鶴峯家門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제 31집, 2016
- ↑ 김학수, 「조선시대 사대부士大夫 가풍家風의 계승 양상 연구- 의성김씨 학봉가문鶴峯家門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제 31집, 2016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김학수, 「조선시대 사대부士大夫 가풍家風의 계승 양상 연구- 의성김씨 학봉가문鶴峯家門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제 31집, 2016
- 마송의, 「송시열의 『戒女書』를 통해 본 조선 후기 여성교육의 특징」,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김정화, 「女子初學과 誡女歌의 比較 硏究」,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 성병희, 「女子初學考」, 『논문집』 vol.8, 안동교육대학, 1975
유용한 정보
- '여자초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