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사서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여사서, 여사서 언해
한자명칭 女四書
로마자명칭 Yeosaseo
영문명칭 A copied version of some parts of the Korean annotation of Yeosaseo (Four Books for Women) for the education of royal women.
작자 이덕수
간행시기 19세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3-100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2.0×17.8㎝
판본 필사본
수량 1첩
표기문자 한글


정의

1736년(영조12) 영조가 홍문관 제학 이덕수(李德壽, 1673~ 1744)에게 언해하도록 명하여 간행한 『여사서(女四書)』 중 언해 부분만 일부 필사하여 왕실 여성의 교육을 위해 엮은 책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1736년(영조12) 영조가 홍문관 제학 이덕수(李德壽, 1673~ 1744)에게 언해하도록 명하여 간행한 『여사서(女四書)』 중 언해 부분만 일부 필사하여 왕실 여성의 교육을 위해 엮은 책이다. ‘여사서’라는 제목은 사대부 남성의 필독서인 ‘사서(四書:논어, 맹자, 대학, 중용)’에 상대되는 말로, 여성이 반드시 읽어야 할 네 권의 책이라는 의미이다. 청나라 왕진승(王晉升)은 여성이 읽어야 할 책으로, 후한(後漢) 조대가(曹大家)의 『여계(女戒)』, 당나라 송약소(宋若昭)의 『여논어(女論語)』, 명나라 인효문황후(仁孝文皇后)의 『내훈(內訓)』, 명나라 강녕유씨(江寧劉氏)의 『여범(女範)』 등을 편집하여 4권 3책의 『여사서』를 편찬하였다. 영조는 청에서 들어온 『여사서』를 언해하도록 했는데, 언해 순서는 『여계』, 『여논어』, 『내훈』, 『여범』 순으로 하였다. 언해 방식은 원문에 독음과 구결을 단 후에 한 칸 낮추어 언해를 첨부하였다. 언해는 정자체로 썼다. 이 필사본은 『여계』, 『여논어』는 궁체 흘림으로 『내훈』은 반흘림이 섞인 궁체 흘림으로 쓰였다. 이 필사본은 한글 서체연구 자료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온전한 궁체로 쓴 것으로 보아 왕실 여성의 교훈서로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1737년 간행본 『여사서』 4권 3책에서 1~3권의 한글부분만 흘림체로 필사하였으며, 표기 양식은 대체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4권 2책의 1907년 간행본 『여사서』가 있는데, 이는 전우(田愚)가 국문으로 번역한 뒤 송병순(宋秉珣, 1839~1912)이 서문을 쓴 것으로, 책의 구성과 번역 내용 등에 있어 1736년 간행본과 차이가 크다. [1]

각 권의 내용 설명

각 권의 내용을 보면, 『여계』는 여자가 자라서 출가하여 시부모와 남편을 섬기고, 시가와의 화목을 위하여 여자로서 하여야 할 일체의 몸가짐 등을 서술한 것으로, 비약(卑弱)·부부(夫婦)·경순(敬順)·부행(婦行)·전심(專心)·곡종(曲從)·화숙매(和叔妹) 등 7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논어』는 여성들에게 가사, 대인관계, 윗사람 섬기는 일, 순종,정조 등을 강조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입신(立身)·학작(學作)·학례(學禮)·조기(早起)·사부모(事父母)·사구고(事舅姑)·사부(事夫)·훈남녀(訓男女)·영가(營家)·대객(待客)·화유(和柔)·수절(守節) 등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훈』은 언행·효친·혼례·부신(夫娠)·모의(母儀)·돈목(敦睦)·염검(廉儉)·적선(積善)·천선(遷善)·숭성(崇聖)·경현범(景賢範)·사부모·사군(事君)·사아고(事兒姑)·봉제사(奉祭祀)·모의·목친(睦親)·자공(慈功)·체하(逮下)·대외척(待外戚) 등 2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범』은 『여범첩록 女範捷錄』이 본래의 이름이며, 보통 줄여서 『여범』으로 통칭한다. 『여범』의 통론편은 대표적인 유가여성교육론으로, 음양의 이치에 따라 남자와 여자의 근본과 도리를 설명한 뒤 가정에서 여성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이에 따라 여성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1974년 아세아문화사에서 영인한 바 있다. 1736년의 판본 이외에 1907년에 박만환(朴晩煥)이 언해한 것이 전하는데, 이 책은 중국의 『여사서』의 순서를 그대로 따랐으며 한자음을 전혀 달지 않았다는 점과 의역체(意譯體)라는 점에서 1736년의 판본과는 크게 다르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덕수 여사서 A는 B를 언해했다 1736년
영조 여사서 A는 B의 편찬을 명했다 1736년
출생 여사서 A은 B에 언급된다
왕진승 여사서 A은 B를 편찬했다
조대가 여계 A는 B를 지었다
조대가 여사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송약소 여논어 A는 B를 지었다
송약소 여사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인효문황후 내훈 A는 B을 지었다
인효문황후 여사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강녕유씨 여범 A는 B을 지었다
여범 여범첨록 A는 B와 유사하다
강녕유씨 여사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전우 여사서 A는 B를 번역했다 1907년
송병순 여사서 A은 B의 서문을 썼다 1907년
박만환 여사서 A은 B를 언해했다 1907년
아세아문화사 여사서 A에서 B를 영인했다 1974년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세기 여사서가 작성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여사서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80쪽.
  2. 여사서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online

참고문헌

  • 단행본
    1. 남광우·정기호·윤명구, 「대고어사전출간(大古語辭典出刊)을 위한 자료연구」, 『인문과학연구소논문집』 4, 인하대학교, 1978.
    2. 남광우, 여사서연구(女四書硏究)」, 『이숭녕선생고희기념국어국문학논총(李崇寧先生古稀紀念國語國文學論叢)』, 탑출판사, 1977.
    3. 손인수, 「조선시대의 여성교훈」,동교민태식박사고희기념유교학논총(東喬閔泰植博士古稀記念儒敎學論叢)』, 1972.
    4. 昭惠王后 韓氏, 『내훈(內訓)』, 陸完貞 譯註,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