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책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공정책
한자표기 空頂幘
복식구분 관 및 쓰개
착용신분 왕세자, 왕세손
착용성별
관련복식 면복



정의

정수리[頂]가 비어 있는[空] 책[幘]이란 뜻[1]으로, 조선시대 관례를 치르지 않은 왕세자가 착용하는 관이다.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미성년자인 왕세자왕세손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평상시에 쓰거나 의례를 위해 면복을 입을 때 함께 착용한다.

형태

한나라 이후 중국에서는 관례를 올리지 않은 황제, 황태자 친왕 등이 공정흑개책(空頂黑介幘)[2]혹은 공정개책(空頂介幘)[3]을 썼다. 이를 참고로 조선 후기에 공정책을 만들었는데, 형태는 한나라의 개책[4]과 달랐다. 조선의 공정책면관의 면판 부분을 없앤 형태와 신하들이 쓰던 양관에서 양이 있는 정수리 부분을 제거한 모양을 모방해서 만들었다. ‘공정(空頂)’[5]이라는 말이 갖는 상징적 의미 때문에 용어는 채택하고, 면관양관을 참작해 새로운 형태의 공정책을 만들었다.[6]

기타

정수리가 비었다는 것은 미성년자(未成年者)임을 뜻한다. 전통적으로 정수리가 덮인 관모는 성인(成人)만 쓸 수 있었기 때문에 아직 관례(冠禮)를 올리지 않은 미성년자가 정수리를 덮은 관모를 쓰는 것은 예법에 어긋난다. 조선의 왕세자는 아주 어린 나이에 책봉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관례를 올리지 않은 상태에서 책례를 올릴 때 쓸 수 있는 관모가 필요해 1649년에 현종이 왕세손으로 책봉될 때 처음으로 만들어졌지만, 그 형태에 관한 논의는 1667년 숙종왕세자 책례 때 이루어졌다.[7]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공정책 왕세자 A는 B를 착용하였다
공정책 왕세손 A는 B를 착용하였다
공정책 책례 A는 B에 착용한다
공정책 면복 A는 B의 구성요소로 갖는다
공정책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173쪽.
  2. 공정흑개책(空頂黑介幘): 정수리가 빈 검은색의 개책이다.(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173쪽 참조.)
  3. 공정개책(空頂介幘): 정수리가 빈 개책이다.(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173쪽 참조.)
  4. 개책(介幘): 관모의 일종으로, 머리둘레를 싸는 천에서 정수리가 있는 관모로 변한 형태의 한 종류이다.
  5. 공정(空頂): 정수리를 덮지 않는 관모를 착용하는 미성년자를 뜻한다.
  6.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173쪽.
  7. 최연우, 『숙종 왕세자 책례시의 공정책 디자이너』, 『장서각 소장 ‘의례등록(儀禮謄錄)’ 자료의 탈초, 역주 및 현대화』, 2015, 24쪽.
  8. 최연우, 「숙종 왕세자 책례시의 공정책 디자이너」, 『장서각 소장 ‘의례등록(儀禮謄錄)’ 자료의 탈초, 역주 및 현대화』, 2015, 25쪽.
  9. 최연우, 『숙종 왕세자 책례시의 공정책 디자이너』, 『장서각 소장 ‘의례등록(儀禮謄錄)’ 자료의 탈초, 역주 및 현대화』, 2015, 25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2015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원내과제 ‘고전자료의 현대화’ 연구결과발표회, 『장서각 소장 ‘의례등록(儀禮謄錄)’ 자료의 탈초, 역주 및 현대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15.
  • 中國織繡服飾全集編纂委員會, 『中國織繡服飾全集』 4, 天津人民美術出版社, 2003.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黃能馥, 陳娟娟, 『中華歷代服飾藝術』, 中國旅遊出版社, 1999.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