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靑角)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청각 |
한글표제 | 청각 |
한자표제 | 靑角 |
동의어 | 녹각채(鹿角菜), 청각채(靑角菜) |
분야 | 생활·풍속/식생활/음식 |
유형 | 식재료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양미경 |
생산지 | 황해도, 경상도, 충청도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청각(靑角)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조실록』 1년 7월 24일 |
녹조식물 청각목 청각과의 해초.
개설
청각채(靑角菜) 혹은 녹각채(鹿角菜)라고도 한다. 흉년에는 구황식품으로 사용하였고, 김치를 담글 때에는 양념으로 사용하였다.
원산지 및 유통
『세종실록』 「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종합해 볼 때, 청각은 황해도·경상도·충청도 지역에서 주로 생산되었다. 그러나 허균(許筠)은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에서 청각은 서해바다 모든 지역에서 나고, 해주와 옹진에서 생산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하였다. 청각은 주로 건조품의 형태로 유통하였다.
연원 및 용도
청각은 빛깔이 푸르고 생김새가 사슴뿔을 닮았다 하여 녹각채라고도 불렸다. 조선시대에는 주로 구황식품으로 인식되어, 청각이 생산되는 지역에서는 관찰사가 흉년을 대비하여 청각을 채취, 비축하는 임무를 도맡았다(『세조실록』 1년 7월 24일).
청각은 김치를 담글 때 꼭 필요한 양념이었다. 빙허각 이씨가 쓴 『규합총서(閨閤叢書)』는 장짠지·동지·섞박지·동치미·어육김치 등의 조리법을 기록하였는데, 이들 김치류에 청각을 양념으로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 『규합총서(閨閤叢書)』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