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역(馬山驛)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마산역 |
한글표제 | 마산역 |
한자표제 | 馬山驛 |
상위어 | 영서도(迎曙道) |
관련어 | 청교도(靑郊道), 전운노비(轉運奴婢), 역도(驛道), 속역(屬驛), 역승(驛丞), 찰방(察訪) |
분야 | 경제/교통/육운 |
유형 | 집단·기구 |
집필자 | 홍성욱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마산역(馬山驛)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2년 8월 12일, 『세종실록』 7년 11월 3일, 『세종실록』 2년 1월 4일, 『세종실록』 7년 11월 3일 |
조선시대 경기도 지역의 역도(驛道) 중 하나인 영서도에 속한 역.
개설
마산역(馬山驛)은 고려시대에는 청교도(靑郊道)의 속역으로, 봉성현에 설치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편제에 의하면 경기우도정역찰방의 관할 하에 있었고, 성종대에는 『경국대전(經國大典)』이 반포되면서 영서도(迎曙道)의 속역으로 편입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병지(兵志)」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고려시대에는 청교도에 속한 15개 속역 가운데 하나로, 봉성현에 위치하였다. 정확한 설립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995년(고려 성종 14)에서 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직 및 역할
1420년(세종 2)에는 정역(正役) 1명과 봉족(奉足) 2명을 1호(戶)로 편성한 전운노비(轉運奴婢) 10호가 배속되었다(『세종실록』 2년 8월 12일). 조선시대의 마산역은 벽제역(碧蹄驛)·동파역(東坡驛)과 함께 명나라 사신들의 숙소로 사용되어 다른 역들에 비해 과도한 부담을 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사신의 접대와 영송을 담당하는 인원은 6명에 지나지 않았다. 그리하여 1425년(세종 7)에는 병조의 건의에 따라, 기존의 정원 8명에 6명을 더하여 총 14명이 사신들의 영송과 수발을 담당하도록 정원을 확충하였다(『세종실록』 7년 11월 3일).
한편 조선 세종대에는 강무(講武)와 제사 등의 행사를 치른 뒤 유숙하는 장소로 빈번히 사용되었다. 1420년에는 동파역에서 태종의 재우제(再虞祭)를 지내고 마산역에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다(『세종실록』 2년 1월 4일).
변천
조선 건국 후 전국적으로 역도와 역로 조직이 정비되면서 마산역은 1425년(세종 7) 경기충청정역찰방에 소속되었다(『세종실록』 7년 11월 3일). 이후 1431년(세종 13) 한양 서북 방면이 경기우도로, 동남 방면이 경기좌도충청도로 분리되면서 마산역은 경기우도정역찰방에 편제되었다[『세종실록』 지리지 경기].
1462년(세조 8)에 역도의 재정비가 이루어진 이후 경기우도찰방이 영서도 찰방으로 칭해지면서 성종 연간에 번포된 『경국대전』의 역도 체제하에서 영서도의 속역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후기까지 존속하다가,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정요근, 「조선초기 역로망의 전국적 재편」, 『조선시대사학보』48,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