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부(鹵簿)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28 판 (XML 가져오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국왕의 행차 시 동원되는 의장.

개설

왕의 행차를 거둥[擧動]·동가(動駕)·행행(行幸)이라 한다. 왕의 행차를 장엄하게 하기 위해 의장을 갖춘 것을 노부(鹵簿)라 하고, 노부를 갖춘 왕의 행렬을 예행(禮行)라 한다. 노부의 노(鹵)는 방패, 부(簿)는 방패 든 사람들의 순서를 적은 장부라는 뜻이다. 황제나 왕 등 지위가 높은 사람의 행렬에 깃발 등의 의장을 배치하는 것은 시각적·청각적 도구로 왕의 행렬이 지나감을 알림과 동시에 그 위엄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다.

내용 및 특징

의위(儀衛)와 노부는 종류에 따라 구성이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의위는 호위 군사와 악대 중심으로 구성된 반면 노부는 깃발[形]과 악기[名]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서로 다른 점이다. 고려시대 행렬에는 노부와 의장이 함께 진설되었다.

고려시대 노부에 진설된 깃발은 오방기·사신기 등이고, 악기는 금정(金鉦) 또는 금정(金錚)·강고(掆鼓)·도고(鼗鼓), 악대는 취라군·취각군이다. 깃발과 악기 혹은 악대의 규모는 의위와 노부의 규모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변천

우리나라에서 노부는 고려 의종대에 상정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왕의 행렬이 의위와 노부로 구분되어 있었다. 의위는 의장(儀仗)과 위장(衛仗)을 포함하는데, 조회의장(朝會儀仗), 법가위장(法駕衛仗), 연등위장(燃燈衛仗), 팔관위장(八關衛仗), 서남경순행위장(西南京巡幸衛仗), 봉영위장(奉迎衛仗), 선사의장(宣赦儀仗)이 있었다. 노부에는 법가노부(法駕鹵簿), 연등노부(燃燈鹵簿), 팔관노부(八關鹵簿), 순행봉영노부(巡幸奉迎鹵簿), 선사노부(宣赦鹵簿), 소가노부(小駕鹵簿), 왕태자노부(王太子鹵簿), 백관의종(百官儀從), 외관아종(外官衙從)이 있었다. 위장에 사용한 악기는 금정·강고·도고·금쟁·금(金)·고(鼓)의 여섯 종류이다.

조선전기에는 의장이 노부에 포함되었고, 황의장·홍의장·대가노부·법가노부·소가노부·왕세자의장이 있었다. 조선전기 노부도 깃발과 악대 중심으로 편성된 것은 고려시대와 동일하나, 다만 음악과 관련된 구성원은 금고(金鼓)·전부고취·후부고취·취각이 진설되었다. 악대의 숫자와 규모는 노부의 규모에 따라 차등이 있었다.

조선후기에는 조선전기의 노부 중 황의장·홍의장이 없어졌고, 기우제의장·왕세자빈의장·왕세손의장·왕세손빈의장이 새로 생겼다. 조선후기 노부에는 악대 중 취각이 내취로 대치되는 변화가 있었다. 내취는 취타내취와 세악내취의 두 종류가 있었다. 왕의 성내 거둥에는 내취와 고취가 모두 진설되었지만, 성외 거둥에는 내취만 진설되었다.

의의

노부는 고려시대부터 전승되는 궁중 행렬 문화로서 다양한 악기와 악대 등 궁중 행악 문화의 전승 계기가 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이숙희, 『조선후기 군영악대 취고수·세악수·내취』, 태학사, 200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