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액(門額)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문액 |
한글표제 | 문액 |
한자표제 | 門額 |
관련어 | 당액(堂額), 전액(殿額), 현판(懸板) |
분야 | 문화/예술/건축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시대 |
집필자 | 정정남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문액(門額)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정조실록』 9년 3월 23일 |
문에 거는 현판.
내용
문액(門額)의 액(額)은 편액·현판의 의미로 전액(殿額)·당액(堂額)·문액 등으로 쓰인다. 그중 문액은 각 실에 들어서는 문 위에 다는 편액으로 그 방을 사용하는 사람의 성격, 혹은 실의 특성과 용도를 반영하기도 한다. 창덕궁의 연영합(延英閤)에는 한 건물에 4개의 편액이 있는데, 누각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오운루(五雲樓)’, 방문 위에는 ‘학몽합(鶴夢閤)’·‘연영합’이라는 각 방의 이름을 쓴 편액이 달려 있다. 또한 ‘천지장남지궁(天地長男之宮)’이라는 편액이 달려 있어 세자의 처소로 추측하게 한다.
용례
鷲嶺下七佛菴 距洋海所居荷川山堂西爲十里 而且其門額 題以東國第一禪苑 其中有亞字僧房 稱以大師 終日不語 向璧而坐者 有九人 而擧皆朝聚暮散之徒也(『정조실록』 9년 3월 23일)
참고문헌
- 안휘준, 『동궐도읽기』,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