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경(乾耕)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20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농가에서 벼를 재배할 때 건답(乾畓)을 만들어 종자를 직파(直播)하던 경종법.

개설

건경(乾耕)은 논에서 벼를 재배할 때, 봄철에 가뭄이 들어 수경(水耕)을 시행하기 어려운 경우 불가피하게 채택하는 경종법(耕種法)이었다. 건경은 물을 채운 무논 대신 물이 없는 건답을 만들어 종자를 직파하는 건경직파법(乾耕直播法)을 줄여서 부르는 말이었다. 이를 건파법(乾播法)이라고 달리 부르기도 하였다. 조선초기 1429년(세종 11) 편찬된 『농사직설(農事直說)』에서 벼농사 경종법을 세 가지로 소개하고 있는데, 건경은 그중 하나로서 향명(鄕名)은 건사미(乾沙彌, 건삶이)였다고 한다.

내용 및 특징

조선시대 벼농사를 지을 때 시행하였던 건경의 기술 내용과 특징은 『농사직설』에서 찾아볼 수 있다. 건경은 수경직파법(水耕直播法)과 이앙법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통용되었고, 논에 물대기가 힘든 일부 지역에서 채택하고 있었다. 또한 봄 가뭄[春旱]이 들어 수경을 하기 힘들 때에도 건경을 이용하여 벼농사를 지었다. 건경에 활용할 수 있는 볍씨, 즉 도종(稻種)도 제철보다 늦게 여무는 벼인 만도(晩稻)로 한정되어 있었다.

건경을 하기 위해서 우선 논의 표토(表土)를 갈아엎어 주는 기경(起耕)을 마친 다음 곰방메로 흙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숙치(熟治) 작업을 해주었다. 그리고 다시 써레로 표면을 고르게 만들어 주는 작업을 종횡으로 여러 차례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벼를 경작할 논 표면을 정밀하게 다스리는 작업은 매우 많은 노동력이 필요한 일이었다.

건경과 연결된 파종(播種)은 특별한 작업이 함께 이루어졌는데, 도종을 그냥 파종하는 것이 아니라 종자에 비료 성분을 묻혀 주는 분종(糞種)이라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있었다. 도종 1두(斗)에 숙분(熟糞)이나 요회(尿灰) 1석(石)을 섞어주는 방식이었다. 그런 다음 왼발 뒤꿈치로 흙을 밟아 누르면서 종자를 뿌리고, 오른발로 흙을 덮어 주는 족종(足種) 방식으로 파종하였다. 파종한 다음에는 새들이 침범하는 것을 막아주고, 볏모가 자라기 전까지 물을 넣어주지 않았다.

건경으로 파종한 뒤에는 표토 정지(整地) 작업이 뒤따랐다. 논 표면 아래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진압(鎭壓)하는 작업이었다. 시비(柴扉)라고 불리는 나뭇가지를 엮어 만든 간단한 도구로 파종한 지표면을 눌러주는데, 이때 흙덩이도 부수어 전토(田土)를 단단하게 만드는 것이 좋았다. 건경에서 특히 주의할 것은 제초 작업으로, 일일이 호미를 이용하여 논에서 자라는 잡초를 끊임없이 제거해야 했다. 건경을 할 때 잡초의 성장을 막는 것이 가장 어려운 문제였기 때문에, 제초 작업에는 많은 노동력이 동원되었다.

건경에 만도, 즉 늦게 파종하는 도종만 채택할 수 있었던 것도 제초 문제 때문이었다. 제철보다 일찍 여무는 벼인 조도(早稻)를 파종하게 되면 잡초가 벼보다 훨씬 빨리 무성하게 자라게 되어 제초에 더욱 힘이 많이 들어 만도를 이용한 것이었다. 앞서 숙치하는 과정에서뿐만 아니라, 제초할 때에도 그에 못지않은 노동력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건경은 노동력의 효율적인 활용과는 거리가 멀었다. 봄 가뭄이라는 불가피한 조건을 만나는 경우가 아니면 채택하기 힘든 경종법이었다.

조선초기 15세기에는 수경직파법이 벼 재배에 주로 활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건경은 일부에서만 시행되었다. 제언(堤堰)이나 보(洑)와 같은 수리 시설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논인 경우, 물이 부족한 상황에서 적절한 대책 없이 수경을 하였다가 비가 내리지 않아 물이 말라 버리게 되면 속수무책으로 커다란 피해를 받게 되었다. 따라서 특히 봉천답(奉天畓)인 경우 건경을 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권장되었다.

변천

조선시대 벼 경종법의 하나인 건경이 이앙법과 결합되어 건앙법(乾秧法)이라는 기술이 탄생했다. 이앙법은 본래 수앙(水秧), 즉 물을 받아놓은 모판에서 모를 키우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17세기 초반 기존의 건답 상태의 모판에서 모를 키우는 건앙(乾秧)을 이앙하는 건앙법이 개발된 것이었다.

건앙법은 일반적인 이앙법을 수행할 때 따르는 물 문제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개발되었다. 즉 건앙법은 이앙법의 위험성을 조금이나마 덜어주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고상안(高尙顔)이 지은 『농가월령(農家月令)』에 따르면, 건앙법은 17세기 초반 경상도 낙동강 연안의 상주 지역에서 실행되던 기술이었다.

건경법과 이앙법이 결합된 건앙법을 통하여 모판에 물을 채울 수 없는 상황에서도 이앙을 위한 파종이 가능하게 되었다. 건앙법을 이용하여 물이 없는 모판을 만들어 볏모의 성장을 지체시키고, 이앙하기에 적당한 비를 만나면 이앙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면 일단 성장이 지체되었던 볏모이지만 보통의 수앙과 마찬가지로 논에서 제대로 자랄 수 있었다. 18세기 초반에 편찬된 홍만선(洪萬選)의 『산림경제(山林經濟)』에 건앙법은 「직설보(直說補)」에서 인용한 것으로 주석이 달려 이앙법 기술 설명 속에 포함되어 있다.

건경은 건앙법을 실행할 때 가장 중요한 작업 부분이었다. 화성(華城)에 거주하였던 우하영(禹夏永)은 건앙법에서 필요한 작업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 건경을 꼽았다. 건경을 한 차례만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전토가 회분(灰紛)처럼 곱게 될 때까지 무수히 반복해야 한다고 하였다.

우하영은 이렇게 무수히 건경을 반복하면 철저하게 매양(埋陽), 즉 양기를 전토에 담아 두는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나중에 비를 만나서 이앙하였을 때 분전(糞田)을 하지 않아도 속히 배 이상으로 수확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건경을 무수히 반복하는 것은 경제적 측면이나 노동력 측면에서 매우 힘든 작업이었다.

17세기 이후 이앙법이 벼 재배 경종법의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면서 건경은 특정 지역과 특수한 기후 조건에 걸맞은 지역에서 통용되는 경종법이라는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평안도 같은 군현 내에서도 고조(高燥), 즉 지세가 높고 표면이 말라 있는 지역에서만 채택 가능한 경종법으로 취급되었다.

이에 반해 물을 끌어다 대기 가능한 지역에서는 이앙법을 채택하여도 무방하였다. 예를 들어 18세기 후반에 「응지농서(應旨農書)」를 올린 유종섭(劉宗燮)은 자신이 거주하던 화성 지역을 대상으로 수전(水田) 경종법이 각 면별(面別)로 차이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는데, 이때 수력(水力) 즉 인수할 수 있는 수리 시설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던 용성(龍城) 등의 7개 면은 건파(乾播)를 많이 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건경에 적합한 벼 품종의 개발이 확인되는데, 벼 재배 기술의 발달에 따라 벼의 품종도 지역별로 특화되어 발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지역별로 특화된 작물 품종은 이미 오래전부터 자리 잡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건경에 적합한 품종의 분화는 17세기 무렵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그 실체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18세기 후반 무렵이다.

『농가월령』에 따르면, 4월 입하(立夏)에 건경할 수 있는 품종으로 밀달조(密達租)라는 것이 이미 17세기 전후 무렵에 경상도 상주 지역에서 특화되어 있었다. 18세기 후반 충청도 공주의 유학(幼學)임박유(林博儒)에 따르면, 공주 지역에서 채택하던 벼 품종 가운데 흑점화(黑秥禾)·두응수리화(斗應水利禾)·산어리화(山於里禾)는 건파하여도 수확이 잘되는 품종이었다. 이와 같이 18세기 후반에 이르면 건경에 적합한 벼 품종의 개발이 지역적으로 오랜 세월에 걸쳐 완성되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의의

건경은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여 쉽게 행하기 어려운 방식이었지만, 벼농사를 수행하는 지역의 여건에 따라 부분적으로 시행되었다. 봄 가뭄이 극심할 때 건경은 벼를 재배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었다. 또한 건경은 이앙법과 결합하여 건앙법이라는 기술 체계를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건앙법의 발전은 이앙법의 안정에 크게 기여하였고, 나아가 이앙법이 보급되는 데 중요한 배경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건경은 우리나라 벼농사 기술의 발전 양상을 잘 보여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용섭, 『조선후기 농학사연구』, 일조각, 1988.
  • 김용섭, 『증보판 조선후기 농업사연구』2, 일조각, 1988.
  • 염정섭, 『조선시대 농법발달 연구』, 태학사, 2002.
  • 이태진, 「건경직파 도작과 도휴·묘종수전」, 『사학연구』36, 1983.
  • 오인택, 「18·19세기 수도 건파법의 지역적 전개와 농법의 성격」, 『부산사학』20, 1991.
  • 宮嶋博史, 「李朝後期における朝鮮農法の發展」, 『朝鮮史硏究會論文集』18, 198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