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체시(近體詩)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20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당나라 때 형성된 한시의 한 종류.

개설

보통 당나라 이전에 형성된, 구수(句數)의 제한이 없고 압운(押韻)도 대체로 자유로운 시를 고시(古詩) 혹은 고체시(古體詩)라고 한다. 이에 비해 근체시(近體詩)는 당나라 때 완성된 시체로, 운율의 형식이 엄격한 정형시(定型詩)를 가리킨다. 근체시는 절구(絶句)·율시(律詩)·배율(排律)의 세 형식으로 구분된다. 구수에 따라 절구는 기(起)·승(承)·전(轉)·결(結)의 4구로, 율시는 2구씩 짝을 이룬 수련(首聯)·함련(頷聯)·경련(頸聯)·미련(尾聯)의 8구로, 배율은 10구 이상으로 각각 정해져 있다. 각 구의 글자 수에 따라 5언(言)과 7언으로 나뉘는데, 압운과 평측(平仄)을 엄격히 지켜야 한다. 또 율시와 배율의 경우에는 함련과 경련이 각각 대구를 이루어야 한다.

내용 및 특징

근체시는 압운과 평측 및 대구의 형식이 정해진 정형시로, 각 항목의 정형화된 형식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압운은 협운(協韻), 협운(叶韻)이라고도 하는데, 한시를 지을 때 각 시구 끝에 같은 운을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5언에서는 절구의 승구과 결구, 율시의 함련과 미련에 운을 다는 것이 원칙이다. 7언의 경우에는 절구의 기구와 승구·결구, 율시의 수구와 함련·미련에 운을 달아야 한다. 이때 운은 평(平)·상(上)·거(去)·입(入) 사성(四聲) 중 어느 것을 달아도 무방하지만, 평성으로 압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평측과 관련된 근체시의 정형화된 형식은 중국 육조시대 양나라의 학자 심약(沈約)에게서 비롯되었다. 심약은 한자를 사성으로 분류했으며, 소리의 조화를 위해 반드시 피해야 할 팔병(八病)의 학설을 제창한 바 있다. 한자에는 글자마다 각각 평·상·거·입에 해당하는 고저와 장단이 있다. 고저가 없이 평탄한 것이 평성이다. 평성에 비해 끝이 올라가는 상성, 끝이 내려오는 거성, 끝이 막히는 입성을 합해서 기우는 소리, 즉 측성(仄聲)이라고 한다. 근체시에서는 ‘평’과 ‘측’에 속하는 글자를 교묘하게 배합해 가장 음악적으로 읽히는 한 형식을 정형으로 정해 놓고 있다. 또한 첫 구의 두 번째 글자가 평성일 때는 ‘평기식(平起式)’, 측성일 때는 ‘측기식(仄起式)’이라고 한다.

인접해 있는 두 구의 같은 위치에 있는 글자가 공통의 의미 혹은 기능을 지니도록 배열하는 것을 대구 혹은 대우(對偶)·배우(排遇)라고 한다. 각 글자의 의미나 문법적인 기능 이외에도 평측 역시 대구를 이루도록 배열해야 하는데, 이는 음의 조화를 위한 것이다. 대구는 절구에서도 사용되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에 비해 율시에서는 대구가 반드시 요구되는데, 율시의 한가운데인 함련과 수련은 반드시 대구를 이루어야만 한다. 대구를 형성함으로써 내용적으로 더욱 아름답게, 형식적으로 균형 잡힌 시를 창작하게 되었다.

근체시에는 절구·율시·배율 이외에 일부 악부시(樂府詩)도 포함된다. 악부는 원래 한나라 때 악가(樂歌)를 관장하던 관청의 이름인데, 이곳에서 민간의 노래를 수집하고 새로운 악가를 제작했기에 이와 관련된 작품을 모두 악부시라고 부른다. 대개 악부시는 형식적으로 고체시에 가까운 작품이 많지만, ‘죽지사(竹枝詞)’라 일컬어지는 일군의 작품들은 근체 절구로 지어지기도 했다. 또한 ‘고악부’라는 제목의 작품 가운데 절구나 율시의 형식을 지닌 것도 종종 있다. 따라서 악부시 역시 형식적인 측면에서 고체 악부와 근체 악부로 나눌 수 있다.

조선의 시인들도 절구나 율시 등의 근체시를 주로 애용했고, 조정에서도 왕이 자주 신하들에게 근체시를 지어 바치게 했다(『성종실록』 23년 8월 12일) (『선조실록』 19년 12월 2일).

참고문헌

  • 민병수, 『韓國漢文學槪論』, 태학사, 1996.
  • 오가와 다마키 지음, 심경호 옮김, 『당시개설』, 이회문화사, 1998.
  • 왕력 지음, 송용준 옮김, 『중국시율학』, 소명출판, 2005.
  • 임창순, 『唐詩精解』, 소나무, 1999.
  • 황위주, 「근체시(近體詩)의 형성 배경」, 『선비문화』, 남명학연구원,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