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진(巨鎭)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18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각 도에 설치된 중간 규모의 군사 진영으로 첨절제사(僉節制使) 등이 통솔하던 진(鎭).

내용

조선시대의 지방 군사제도는 진관체제(鎭管體制)를 바탕으로 조직되어 있었다. 각 도에는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가 있어 도내(道內)의 육·수군에 대한 지휘권을 행사하는 주진(主鎭)이 있고, 그 아래에는 목사(牧使) 등이 예겸(例兼)하는 경우가 많은 첨절제사(僉節制使)가 거진(巨鎭)을 단위로 군사 지휘권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말단 제진(諸鎭)은 군수(郡守) 이하가 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 이하의 직함을 갖고 있었다. 이와 같은 진관체제에 따라 전국의 중요한 군사거점에 거진(巨鎭)을 설치하고 주변의 제진(諸鎭)을 통할하게 하였는데, 육군의 경우에는 함경·평안도에 31개소, 그 밖의 6도에 24개소의 거진을 설치하였고, 수군의 경우에는 함경도를 제외한 7도에 12개소의 거진을 두고 있었다. 거진은 절도사가 있는 주진으로부터 지휘를 받고 예하의 제진에 대해 지휘·감독권을 행사하였지만, 양계지역에는 제진이 없는 독진(獨鎭)이 12개소나 있었다. 거진의 지휘관인 절제사와 첨절제사는 육군의 경우 양계의 독진을 제외하면 모두 부윤(府尹)·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목사·부사 등의 수령들이 겸직하였고, 수군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실직(實職)이었으나, 부산과 제포(齊浦)의 첨절제사만 경관(京官)으로서 겸직하게 하였다.

용례

傳旨 兵曹曰 八道量設巨鎭 各統若干州郡 使都節制使統其鎭將 (『세조실록』 3년 10월 17일)

참고문헌

  • 閔賢九, 『朝鮮初期의 軍事制度와 政治』, 韓國硏究院, 1983.
  • 陸軍士官學校 韓國軍事硏究室, 『韓國軍制史-近世朝鮮前期篇』, 陸軍本部, 196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