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계(下契)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1:59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상층민과 하층민을 결합한 형태의 대동계에서 하층을 구성하는 상민 신분의 조직.

개설

하계(下契)는 17세기 상층민과 하층민을 결합한 상하합계(上下合契) 형태의 대동계(大同契)에서 하층민으로 구성된 계원 조직이다. 하계는 양반 신분의 상계(上契)와 상대되는 상민(常民) 신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촌락의 동약(洞約)과 동계(洞契) 조직은 상·하층민이 함께 참여하는 17세기 상하합계 형태의 대동계로 바뀌었다. 16세기에 일반화된 사족 결사체로써의 동계·동약 조직들이 향촌 사회에서 사족 지배 체제가 정착되어 가는 상승기의 산물이었다면, 17세기에 일반화된 상하합계 형태의 조선후기 동계들은 사족 지배 질서가 와해되고 동요되던 시기에 그것을 유지·존속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재결성된 것이었다.

조직 및 역할

상하합계에서 하계는 별도의 좌목(座目)인 하계안(下契案)을 마련하였고 동계 재원을 공평하게 운영할 것을 강조하였다. 한편 공동납 형태로 운영되는 조세 납부에 대해 납세액의 조정과 부담량에 대한 형평의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마을에서의 활동 영역을 확대해 나갔다. 그러나 18세기 중엽 이후 사회 변화로 하계의 반발이 나타나 하계안이 없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며 이후 두레, 촌계(村契) 등의 하계 조직들이 마을의 실질적인 공동체 운영을 담당하게 된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촌락 조직의 모습이나 활동상은 전혀 드러나지 않으며, 1618년(광해군 10)의 등장(等狀)에서 하계가 노출된 것이 유일한 사례이다(『광해군일기』 10년 3월 5일).

변천

17세기 상하합계의 대동계는 일정한 역할 분담을 전제하는 상호 보완적 조직이었지만, 본질적으로는 사족 중심의 향촌 재편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이어서 사족들의 요구와 이해를 강요하는 측면도 컸다. 특히 18세기 이후 사족 지배력이 약화되고 촌락의 분화가 진전되는 과정에서 사족들의 동계 조직은 관념적인 형태로 남거나 형식뿐인 상태가 되어, 그 영향력의 범위가 사족 간의 상호 부조(扶助)적인 역할로 한정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마을 공동체의 고유 생활 문화를 주관하던 하계의 반발이 나타나게 되었으며 18세기 중엽 이후 상하합계 형태의 대동계에서 하계안(下契案)이 없어지는 현상이 일반화되었다. 이로써 기존의 자연촌 단위에서는 하계, 즉 촌계류 조직들이 실질적인 촌락 운영을 담당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 이해준, 「조선후기 동계·동약과 촌락공동체조직의 성격」, 『조선후기 향약연구』, 민음사, 1990.
  • 박경하, 「조선 후기 촌락민 조직과 촌계」, 『정신문화연구』53, 1993.
  • 이해준, 「조선 후기 촌락 구조 변화의 배경」, 『한국문화』14, 1993.
  • 정승모, 「조선시대 향촌 사회의 변동과 농민 조직」, 『역사민속학』1, 1991.
  • 정진영, 「조선 후기 촌락의 구조와 ‘분동(分洞)’」, 『국사관논총』47, 199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