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유역(盤乳驛)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1:52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경기도 지역의 역도(驛道) 중 하나인 중림도에 속한 역.

개설

조선시대에는 건국 직후부터 수도인 한양을 중심으로 기존의 역로를 개편하였는데, 반유역(盤乳驛)은 그 과정에서 금천현에 신설되어 중림도(重林道)의 속역으로 편제되었다. 세종 연간인 1434년(세종 16)에는 동화도(同化道)로 이속되었다가 다시 중림도에 소속되었다. 그 뒤 세조 연간인 1460년에는 경기좌도에 소속되어 경기좌도정역찰방의 지휘를 받았다. 성종대에는 『경국대전(經國大典)』이 반포되면서 다시 중림도로 이속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후기까지 존속하다가 갑오개혁 때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반유역은 고려시대의 역도와 속역이 기록되어 있는 『고려사(高麗史)』「병지(兵志)」 참역(站驛) 조에는 그 명칭이 보이지 않으므로 고려시대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에 비해 『세종실록』에는 1434년에 병조의 건의에 따라 중림도에 소속된 반유역과 석곡역(石谷驛)을 동화도로 이속했다는 기사가 실려 있다(『세종실록』 16년 12월 1일). 따라서 반유역은 조선 건국 이후부터 1434년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신설 초기에 중림도의 속역으로 편제되었다.

조직 및 역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경기 금천현 조를 살펴보면, 당시 반유역에는 10호(戶)가 역촌을 구성하고 있었으며, 상등마 1필, 중등마 4필, 하등마 2필 등 총 7필의 역마가 배속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역의 재정에 충당하도록 하기 위해 지급된 역전(驛田)으로는 마위전(馬位田)과 마위답(馬位畓)이 있었다. 마위전은 12결(結) 11부(負) 7속(束)이었는데, 그 가운데 실제로 농사를 짓는 밭[實結]은 6결 88부 3속, 묵은 밭은 5결 23부 4속이었다고 한다. 그에 비해 마위답은 29결 88부 5속이었으며, 그 중 실제로 농사를 짓는 논은 14결 77부 8속, 묵은 논은 15결 10부 7속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변천

조선 세종대 반유역은 신설 초기부터 중림도에 소속되었다[『세종실록』 지리지 경기]. 이후 1434년(세종 16) 경기 지역 역로(驛路)의 폐단을 구제할 목적으로 충청도 찰방도인 중림도의 소속인 석곡역과 함께 동화도(同化道)의 속역으로 이속되었다.

1457년(세조 3)의 역승 폐지 조치로 모든 역도에 찰방이 파견되면서 역도의 단위가 넓어지게 되었다. 그 결과 중림도(重林道)·동화도(同化道) 관할하에 있는 모든 역들은 경기충청우도정역찰방(京畿忠淸右道程驛察訪)에 소속되었다. 이후 1460년(세조 6)에는 역로가 멀어 순시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인마(人馬)가 괴롭고 피곤하다는 이유로, 역의 원근을 고려해 경기도와 하삼도(下三道)의 역도를 개편하였는데, 이때 반유역은 경기좌도찰방에 소속되었다(『세조실록』 6년 2월 5일).

그 뒤 성종대에 『경국대전』이 반포되면서 확립된 역도 체제에서는 반유역은 다시 중림도로 이속되어 조선시대 후기까지 중림도의 속역으로 존속하다가,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정요근, 「고려·조선초 역로망과 역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