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식(糜食)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1:23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식량이 떨어졌을 때나 군인의 비상식량으로 마련했던 보리나 쌀을 볶아서 가루를 낸 음식.

개설

미식은 보리나 쌀과 같은 곡물을 오랫동안 보관하기 위해 볶아서 가루를 낸 음식을 가리킨다. 가뭄이나 홍수로 기근이 들어 먹을 것이 없을 때 왕실에서 백성에게 공급했던 구황음식이었다. 군량미가 부족할 때를 대비하여 관청에서 준비해 두었던 비상식량이기도 했다. 한자로는 미식(糜食)이라 적었지만 한글로는 미시 혹은 미숫가루라고 적었다. 다른 한자로는 초(麨), 구(糗), 비(糒) 등이 있다.

만드는 법

서유구(徐有榘)는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정조지(鼎俎志)」의 ‘취류지류(炊餾之類)’에서 초(麨)를 언급하면서 자신의 저술 『옹희잡지(饔𩟄雜志)』를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적었다. “초는 초(炒)로부터 만들어진 옛 글자다. 그 냄새가 약간 향기롭다 하여 이를 가리켜 구(糗)라고 불렀다. 『시경(詩經)』의 「벌목(伐木)」에서는 사람들이 덕을 잃으면 말린 구[乾糗]를 많이 먹는다고 했다. 가벼워서 아무리 먹어도 충분치 않지만 불을 피우지 않고 먹을 수 있다. 또 산에 가거나 멀리 갈 때 이것을 빠트리면 안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미식이라 부른다.” 초(炒)는 ‘볶다’는 뜻이다. 따라서 ‘초’가 바로 미식이다. 또한 서유구는 미식의 종류로 찹쌀미식[糯米麨], 완두미식[豌豆麨]·번데기미식[乳麨], 복령·마·율무·연밥·검인·능실의 육향미식[六香麨], 측백나무잎미식[柏葉麨], 근·연밥·마름·토란·가시·올방개·소귀나물·백합 등의 운영미식[雲英麨]·능금미식[柰麨]·오얏미식[李麨]·대추미식[棗油麨]·복분자미식[覆盆子麨] 등을 제시했다. 이 중에서 찹쌀미식·완두미식·번데기미식·육향미식·측백나무잎미식·복분자미식 등은 서유구가 직접 만들어 본 것으로 여겨진다. 미식의 주된 재료는 보리·조·멥쌀·찹쌀 등과 같은 곡물이었다. 찹쌀미식은 찹쌀을 타도록 볶아 맷돌에 갈아서 체에 쳐서 만드는데, 이것을 헝겊 주머니에 넣어 두고 필요할 때 먹었다.

연원 및 용도

중국 고대 서주(西周)가 성립되기 전부터 건량(乾糧)을 사용한 기록이 있다. 『시경』「대아(大雅)」 ‘공류(公劉)’에는 ‘내리후량(迺裏餱糧)’이란 말이 나오는데, 여기에서 ‘후(餱)’가 건량이다. 건량은 군대에서 사용하는 중요한 식품 중 하나였다. 군인들은 멀리 행군을 할 때나 성곽을 지킬 때 건량을 준비했다. 『묵자(墨子)』「수비(守備)」에서는 “건량으로 지은 밥을 사람마다 두 되(升)씩 준비하여 비 오는 날을 대비한다.”고 했다. 비가 오는 날에는 불을 지펴 밥을 짓기가 마땅치 않기 때문에 그때는 모두 건량을 준비했던 것이다. 진나라 때의 『수신기(搜神記)』에서는 마구간에서 아이를 낳은 부부에게 주인이 미식으로 죽을 만들어 주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로 미루어 고대 중국의 미식은 건량을 볶아 가루를 낸 음식임을 추정할 수 있다.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군인의 비상식량으로 미식을 반드시 갖추도록 했다(『세조실록』 7년 11월 27일). 군대를 총괄하는 병사가 갑자기 군인들에게 미식을 준비하도록 하자, 백성들이 전쟁이 난 줄 알고 피난 갈 준비를 하는 일이 있을 정도로 비상식량으로 인식되었다(『광해군일기(중초본)』 3년 3월 4일). 또 미식은 구황음식으로 긴급하게 기근을 해결하는 데 쓰였다(『중종실록』 28년 6월 21일). 국경을 지키는 병영에서 평소에 미식을 마련하지 않다가 감사(監司)의 순시에 맞추어 베와 소금과 장을 시장에 팔아서 미식 몇 섬을 마련했다가 적발된 경우도 있었다(『영조실록』 4년 4월 8일). 또 미식을 잘못 먹고 병이 생겨 갑작스럽게 죽은 관원도 있었다(『영조실록』 4년 4월 14일).

생활·민속적 관련 사항

조문명(趙文命)의 『학암집(鶴巖集)』에는 「영미식(詠糜食)」이란 시가 실려 있다. 가는 가루는 눈과 같네 / 細屑眞如雪

오랫동안 쪄서 밥으로 먹으면 / 爲糜飯舊蒸

배를 주리질 않네 / 不飢功或未

목마르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갈증을 해결해 주네 / 無渴爾猶能

단맛의 사탕과 같은 좋은 꿀을 / 香蜜甘幷蔗

얼음보다 차가운 샘물에 타서 / 寒泉冷勝氷

한 번에 마시면 / 飮來方一快

고생스러운 공부도 할 만하네/ 圍坐對靑燈

보통 여름에 미식 두세 숟가락을 꿀물에 타서 음료로 마셨는데, 이 음료를 마시면 목이 마른 것이 그치고, 배가 고프던 것이 멈추었다.

용례

성종 때 구황음식으로 솔방울을 말려서 가루를 내고 여기에 미식을 섞어 먹으면 좋다는 진휼사(賑恤使)의 보고가 있었다(『성종실록』 16년 6월 19일). 군사들이 원정을 갈 때는 반드시 미식을 싸서 가도록 하였는데, 이것을 제대로 보관하지 않아 양식이 떨어져 곤란을 당한 적도 있었다(『성종실록』 23년 4월 19일).

참고문헌

  • 『수신기(搜神記)』
  •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 『학암집(鶴巖集)』
  • 『시경(詩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