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몽인사(柳夢寅事)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1:05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1623년(인조 1) 중북(中北) 유몽인이 광해군 복위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처형된 옥사.

개설

인조 집권 초기에 유몽인(柳夢寅)이 광해군 정권에 참여한 경력을 문제 삼아 처벌해야 한다는 논의가 진행되었다. 1624년 1월에는 유몽인이 이괄·기자헌 등과 함께 광해군 복위 운동에 관여했다는 고발이 제기되었다. 본인의 부정에도 불구하고 사형이 집행되었으며, 정조대에 신원되었다.

역사적 배경

인조정변으로 집권한 공신들은 광해군 정권에 참여한 인사들에 대한 숙청 작업에 나섰다. 우선 대북 정권의 핵심 인사와 인목대비의 유폐를 주도한 인사들을 처형했다. 대북 정권에 참여한 유몽인도 정인홍·이이첨을 도와서 오랫동안 인사권을 남용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발단

1623년 7월에 전 현령유응형(柳應泂)·유응시(柳應時)와 정주목사이신(李愼) 등이 역모 사건을 고발했다. 선전관유전(柳湔)은 인조가 스스로 왕위에 오른 것은 부당하고, 공신들의 부패상도 광해군 정권과 다름이 없다고 하면서 이들을 타도할 사람들을 모으고 다녔다. 유응형은 기자헌·유몽인과 같은 명사들을 역모에 가담시켜야 한다고 했다. 잠적했다가 양주에서 체포된 유몽인은 아들이 역모에 참여하는 것을 중단시키려고 했다고 자백했다[『인조실록』 1년 7월 27일]. 이 때문에 유몽인에게는 사형 판결이 내려졌다.

경과

1624년(인조 2) 1월에 전 교수문회(文晦), 허통 이우(李佑), 전 첨사권진(權聄), 전 참봉정방열(鄭邦說) 등이 고발한 이괄 등의 역모 사건에 대한 국문이 진행되었다. 정찬(鄭燦)은 기자헌이 역모를 주도하고 문신 유경종·유몽인, 무장 이시언·성우길과 도감의 장관(將官)도 참여했다고 자백했다. 신대지(申大枝)는 광해군 복위 운동이 곧 일어날 것이라고 했다. 윤안형(尹安亨)은 기자헌이 광해군 복위 운동의 당위성을 설파했고, 인성군(仁城君)이 군자금 3천 냥으로 군사를 모집했으며, 기자헌과 유몽인이 도감군에게 격문을 보내 역모 참가를 독려했다고 자백했다. 한흔(韓訢)은 강홍립(姜弘立)·김경서(金景瑞)가 후금 군대를 국경선에 진주시켜서 인조 정권에게 광해군 복위를 요구하는 전략도 세웠다고 진술했다. 또 정석필(丁碩弼)은 전라감사와 병사, 강원감사, 수원부사 등도 역모에 참여하기로 약속했다고 진술했다[『인조실록』 2년 1월 17일].

그 해 8월 9일에 유몽인은 아들 약(瀹)과 함께 사형에 처해졌고, 그와 연루된 인사들도 처벌받았으며 자산은 적몰되었다. 인조반정으로 집권한 서인 세력이 그를 중북파(中北派)라 부르며 반대 세력으로 몰아 죽인 것이었다. 이 때 유몽인은 관작의 추탈은 물론 임진왜란의 공으로 봉해진 영양군(瀛陽君)의 봉호도 삭탈되었다.

1794년(정조 18) 정조는 유몽인을 신원해 주고 이조 판서로 추증하며 시호를 내려 그 명예를 회복시켰다. 정조는 유몽인이 인목대비에게 충성을 다했고, 광해군에 대한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의리를 지켰다고 하였다. 이런 행위는 김시습이나 사육신(死六臣)에 못지않은 충신의 전범(典範)이므로 그를 추숭하는 국가적인 포상 절차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정조실록』 18년 5월 22일].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이승수, 「유몽인의 연행 체험과 중국 인식」, 『동방학지』136, 2006.
  • 한명기, 「유몽인의 경세론 연구: 임진왜란 이후 사회 경제 재건의 한 방향」, 『한국학보』67, 199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