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영양다종(白磁羚羊茶鍾)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0:19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영양(羚羊)의 문양을 장식하거나 그 형상을 본떠 제작한 찻잔.

개설

조선시대에는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다도문화(茶道文化)가 어느 정도 정착되었다. 비록 고려시대에 비해 다기(茶器)의 생산량은 극감했지만 일부 기종은 목적에 따라 꾸준히 제작되었다. 그 종류는 백자를 비롯하여 분청사기, 도기 등 매우 다양했다. 다기의 일종인 다종(茶鐘)은 조선전기에 중국 명나라 사신들이 왕을 접견할 때 종종 진상한 명나라 황제의 하사품 가운데 하나였다. 그런데 백자영양다종(白磁羚羊茶鍾)은 『세종실록』에 명나라 황제의 하사품으로서 유일하게 등장하여 희소성이 있다.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영양이 그려진 찻잔[茶碗]으로 여겨진다. 영양은 양의 일종으로서 길상(吉祥)을 상징하는 동물이다. 특히 중국에서는 새해에 양을 세 마리 그려놓고 삼양개태(三羊開泰)라는 단어를 쓰는데, 이 말은 축복을 의미하는 매우 길한 뜻을 지닌다. 따라서 명나라의 황제는 복운이 가득 넘치는 의미를 가진 백자영양다종을 세종에게 하사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영양문과 같이 독특한 동물문이 찻잔에 새겨지거나 표현된 경우는 국내에서 그 예를 찾아보기 힘들다.

연원 및 변천

백자영양다종에 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을 제외하면 남아있지 않다. 유일한 기록으로 1429년(세종 11)에 명나라 사신 태감(太監)창성(昌盛)과 윤봉(尹鳳)이 백금(白金) 3백 냥쭝, 저사(紵絲) 30필, 나(羅) 10필, 사(紗) 10필, 채견(彩絹) 30필, 백자영양다종 30개, 백자파다병(白磁吧茶甁) 15개 등을 바쳤다는 내용이 있다(『세종실록』 11년 5월 2일). 또한 같은 해에 조선 조정에서 명나라 사신들의 요구를 모두 수용하여 이들이 요구하던 물품들을 모두 충족시켜주었는데, 특히 백자·분청사기완·접시·술병 등의 도자기들이 포함되었다(『세종실록』 11년 1월 5일). 즉 세종 연간에는 중국 사신을 통하여 각종 도자기, 유기, 비단, 백금 등의 고급 하사품들이 명나라의 황실로부터 전달되었고, 또한 명나라 사신들은 조선의 다종다양한 물품을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는 전반기에 조선을 방문한 중국 사신들이 진귀한 다종을 전한 경우가 간혹 있었는데, 이는 중국의 다도문화가 조선에 전파된 한 예로 볼 수 있다.

형태

백자영양다종의 형태는 실물이 전해지지 않아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다. 다만 그 명칭으로 미루어보면, 양의 형태를 한 동물 문양이 시문되었거나 양 모양을 띤 상형백자(象形白磁)였을 가능성이 크다.

참고문헌

  • 강경숙, 『한국 도자사의 연구』, 시공사, 2000.
  • 김영원, 『朝鮮前期 陶磁의 硏究―分院의 設置를 中心으로』, 학연문화사, 1995.
  • 김영원, 『조선시대 도자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방병선, 『왕조실록을 통해 본 조선도자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