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사대종(白沙大鐘)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0:18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백자기로 제작된 술잔.

개설

조선시대에는 관요 분원을 통해 고급 백자가 꾸준하게 제작되었다. 고급 백자는 왕실에서만 사용되는 것이었으나 백자를 구입하고자 하는 계층이 다양화되면서 점차 사용자와 기종도 늘어나게 되었다. 백사대종(白沙大鐘)은 왕실 전용품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이지만 세종 연간에 백사대종 일부가 성균관의 유생과 관리들에게 하사되었다는 기록으로 볼 때, 왕실에서 확보한 백자가 적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왕실 권한으로 궁궐 외부에 유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연원 및 변천

백사대종에 관한 기록은 『세종실록』에 남아 있는 것이 유일하며, 이를 통해 간략하게나마 연원을 파악할 수 있다. 세종 연간에 이르러 고급 백자들은 왕실에 진상되었고, 일부 지역의 특수 고위 관리들이 사용한 사실이 『세종실록』과 『세종실록』「지리지」 등에 기록되어 있다. 한편 1447년(세종 29)에는 고위 관리가 사사로이 백자기를 구웠다는 이유로 파면되는 내용이 있어, 고급 백자를 구입하거나 사용하는 것을 규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당시 백자는 왕실 전용품으로서 사용자와 사용처를 확실하게 구별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왕실품으로 제작된 백자 일부와 청화백자 등이 하사품으로 궁궐 외부로 유출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세종은 성균관에 청화사대종(靑畵沙大鍾), 백사대종, 백사대준(白沙大尊) 등을 하사한 일이 있었는데(『세종실록』 29년 9월 1일), 이 하사품들은 왕실 소유품으로 간주된다. 당시 왕실에서는 고급 백자를 하사할 정도로 상당량의 백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태종 연간부터 성균관에 중국 청화백자를 하사한 사례도 있어, 선왕 때부터 성균관에 대한 각별한 애정과 관심이 유지되어 온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백사대종은 당시 하사품의 일부였으며 중국산이거나 분원에서 특별 제작한 고급품이었을 것이다. 1450년(문종 즉위)에도 백자종(白磁鍾)을 사신들에게 종종 하사하였는데 아마도 특별 하사품으로서 생산량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형태

백사대종은 크기가 큰 술잔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유물이 전해지지 않아 정확한 형태는 파악하기는 힘들다.

참고문헌

  • 강경숙, 『한국 도자사의 연구』, 시공사, 2000.
  • 김영원, 『조선시대 도자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방병선, 『왕조실록을 통해 본 조선도자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