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함성(東咸星)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0:09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통 별자리인 28수(宿) 가운데 방수(房宿)에 속한 별자리.

개설

동함성(東咸星)은 28수 가운데 방수에 속하며 4개의 별로 이루어졌다. 동함성은 심수(心宿)의 북쪽에 있으며, 해와 달 그리고 오행성이 다니는 황도(黃道)에 자리 잡고 있다. 동함성은 서함성(西咸星)과 함께 방수의 방문으로써, 간사하고 음란한 것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고 하였다. 서양 별자리의 뱀주인자리에 속한다.

내용 및 특징

『조선왕조실록』에서 동함성의 관측과 관련된 기사는 6건 정도 찾아볼 수 있으며, ‘동함’ 또는 ‘동함성’으로 기록되어 있다. 기록 중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달, 목성, 토성과 관련된 관측 기록이다.

고천문에서 별자리는 천문 관측의 좌표로 활용되었는데, 주기(週期)가 분명한 달·오행성의 관측 기록은 좌표 역할을 하는 별자리의 위치와 그 별자리를 구성하는 별을 동정할 수 있는 증거 자료가 된다. 예를 들어, 밤에 목성이 동함 제3성을 범하였다는 기록이 있다(『경종실록』 2년 2월 11일). 현대 천문학 방법으로 검증해보면, 이날 새벽 목성이 뱀주인자리에 속하는 4.6등성인 오메가별에 가깝게 접근해 있었다. 이것을 통해 동함 제3성을 뱀주인자리 오메가별로 동정할 수 있다.

고천문에서는 하늘을 31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서 별자리를 배속시켜 분류하였는데, 그 분류는 시대별로 달랐다. 『보천가(步天歌)』 이후 삼원(三垣)과 28수의 별자리 분류 체제가 확립되면서 동함성은 28수 가운데 동방 7수의 방수(房宿)에 속하였다. 그 이전인 『삼가성경(三家星經)』에서는 석씨중관(石氏中官)에 속하는 것으로, 그리고 『진서(晉書)』「천문지(天文志)」에서는 중궁(中宮)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어 있었다.

천문 분야론에 따르면, 동함 성좌는 하늘을 12구역으로 나눈 십이성차(十二星次)의 대화(大火)의 차에 속하는데, 서양 황도십이궁의 천갈자리[天蝎宮]와 상응한다. 해가 하늘에서 대화의 차에 위치할 때는 십이진(十二辰)의 묘(卯)의 방향에 해당되고, 시절은 음력 9월이 된다.

동함성의 별 4개는 하늘에서 심수(心宿)의 북쪽에 자리 잡고 있는데, 방수의 서북쪽에 있는 서함성과 함께 벌성(罰星)을 끼고 있는 모양이 네모난 방을 닮았다. 이것을 『보천가(步天歌)』에서는 “벌성을 끼고 있는 두 함성(咸星)은 방을 닮았고” 하고 읊었다. 하늘에서 동함성이 위치한 지역은 서양 별자리의 뱀주인자리에 속하는데, 위에서 언급한 뱀주인자리 오메가별이 동함성의 네 별 가운데 하나이다.

동함성은 황도(黃道)에 위치하여, 해·달·오행성이 지나는 길목에 자리 잡고 있다. 서함성과 함께 방수의 문이 되어 삿되고 음란하며 소란스러운 것들이 숨어 들어오는 것을 막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동함성과 관련된 천문 현상도 이와 관련시켜 해석하였는데, 해·달·오행성이 범하거나 지키고 있으면 신하들이 음모를 꾸미고 전쟁이 일어난다고 하였다. 또한 유성이 범하면 왕비가 방자해지고 왕에게 근심이 있으며, 객성(客星)이 범하면 왕이 예를 잃고 왕비가 방자해진다고 하였다. 여기서 범한다[犯]는 것은 가까이 다가가는 것을 의미하며, 지킨다[守]는 것은 들어가서 오랜 동안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 『천문류초(天文類抄)』
  • 『통지(通志)』「천문략(天文略)」
  • 『진서(晉書)』「천문지(天文志)」
  • 『송사(宋史)』「천문지(天文志)」
  • 『삼가성경(三家星經)』
  • 『보천가(步天歌)』
  • 안영숙 외, 『조선시대 연력표』, 한국학술정보,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