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絛帶)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6일 (수) 14:33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남자의 포(袍) 위에 매는 실띠.

개설

끈목으로 만든 대, 즉 실띠를 가리킨다. 문헌에는 조아(條兒, 絛兒), 조대(條帶, 絛帶), 사대(絲帶)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왕부터 백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었다. 왕·왕세자 등 왕실 남자들의 연거복(燕居服), 관리의 평상복, 하급 관리의 관복, 관직 없는 사람들의 예복, 수의 등에 띠었다.

연원 및 변천

조선시대 문헌에 보이는 조대의 명칭은 조아, 조대, 사대, 다회(多繪), 소대(小帶), 편조(扁絛), 편조대(扁絛帶) 등이 있다. 끈목의 너비에 따라 세조대(細絛帶, 細絛兒)와 광다회(廣多繪, 廣絛兒)로 구분하기도 한다.

관리의 평상복에 띠는 경우에 1~3품까지는 홍조아, 4품 이하는 청조아를 띠며, 녹사(錄事)·서리(書吏)·향리(鄕吏)·별감(別監)·궐내 각 차비(差備)·나장(羅將)·조예(皁隸) 등 하급관리의 관복에는 조아를 띤다. 1884년(고종 21) 의복개혁령에는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사복(私服)에 사대를 매게 했는데, 당상관은 홍자색, 당하관은 청록색, 유생은 혁대를 사용하도록 했다[『고종실록』 21년 윤5월 25일 1번째기사].

형태

조대는 끈목과 술로 구성된다. 조대의 중심을 이루는 끈목은 단면의 형태에 따라 환조(丸組)와 편조(扁組)로 구분되며 세조대는 환조, 광다회는 편조의 특징을 보인다. 끈목의 양끝에는 다양한 형태의 술을 달았는데 끈목을 짜고 남은 실의 가닥을 풀어 놓은 것, 딸기술, 방망이술을 장식한 것 등이 있다. 15~17세기의 폭이 넓은 실띠가 집중적으로 출토되어 이 시기에는 광다회가 유행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용도

왕·왕세자 등 왕실 남자들의 연거복, 관리의 평상복, 하급관리의 관복, 관직 없는 사람들의 예복, 수의 등 다양한 남자의 포에 띠었다.

대를 맬 때는 가슴 위로 올려 매서는 안 되고, 배꼽까지 내려 매서도 안 되며, 졸라매지도 말고 느슨히 매지도 말며, 맺은 부분은 동심(同心)으로 하고 늘어뜨린 두 가닥의 길이가 같게 했다.

참고문헌

  • 김시재·조우현, 「조선시대 조대의 형태적 특징과 제작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