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인장씨(貴人張氏)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22일 (금) 01:33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671년(현종 12) = ?]. 조선의 16대 왕인 인조(仁祖)의 후궁. 본관은 해풍(海豊)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 장류(張留)는 선공감(繕工監) 부봉사(副奉事)를 지냈고, 어머니는 알려지지 않는다. 할아버지는 장경해(張慶海)이다.

인조의 후궁

장귀인(張貴人)은 1635년(인조 13) 내려진 숙의(淑儀) 간택령 때 후궁으로 선발되어(『인조실록』 13년 3월 11일),[『승정원일기』인조 13년 7월 21일],[『응천일록(凝川日錄)』 권7] 이현궁(梨峴宮)에서 한 달 간 머문 후 입궁해 숙의에 봉해졌다.(『숙종실록』 12년 3월 25일),(『숙종실록』 12년 2월 27일),(『인조실록』 13년 8월 16일),[『승정원일기』숙종 12년 3월 4일]

1638년(인조 16) 인조가 계비인 장렬왕후(莊烈王后)를 맞아들인 후 소의(昭儀)로 승격되었으며,(『인조실록』 16년 12월 21일) 1640년(인조 18) 다시 귀인(貴人)의 첩지를 받았다.(『인조실록』 18년 8월 27일) 종1품 귀인에까지 오르기는 하였으나, 인조의 또 다른 후궁인 조귀인(趙貴人) 때문에 왕의 사랑은 받지 못했다고 전해진다.(『인조실록』 16년 12월 21일)

1671년(현종 12) 세상을 떠나 예제에 따라 장례가 치러졌다.(『현종실록』 12년 1월 24일),[『승정원일기』현종 12년 1월 22일]

일화

한 기록에 따르면 인조가 장귀인을 맞아들인 다른 일화가 나온다. 인조가 일찍이 꿈에서 한 여자를 보았는데 스스로 장류(張留)의 딸이라 말하고, ‘태평(太平)’이란 글자를 써서 임금께 올렸다. 잠에서 깨어 매우 이상하게 여겨 수소문하여 찾아보니 진사 장류라는 사람에게 과연 딸이 있었다. 이에 후궁으로 뽑아 들이게 한 다음 시험 삼아 글씨를 써보게 하였더니, 곧 ‘천하태평춘(天下太平春)’이라는 다섯 자를 써 올렸다. 그러나 다만 그 꿈과 부합하였을 뿐이고 끝까지 다른 이상한 일은 없었다고 한다.[『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권29 「인조조고사본말(仁祖朝故事本末)」]

묘소와 후손

장귀인의 무덤은 알려지지 않는다.

장귀인은 인조와의 사이에서 자식이 없다.

참고문헌

  • 『인조실록(仁祖實錄)』
  • 『효종실록(孝宗實錄)』
  • 『현종실록(顯宗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사마방목(司馬榜目)』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응천일록(凝川日錄)』
  • 지두환, 『인조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