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혈(坐穴)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38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혈이 놓여 있는 자리.

개설

풍수지리의 요지는 산수의 형세를 판단하고 길한 좌향을 안배할 수 있는 마땅한 혈 또는 혈처를 찾는 것이다. 혈만으로도 충분히 풍수지리를 설명할 수 있지만, 혈이 놓인 자리를 강조하기 위해서 좌혈이라는 용어를 쓰기도 한다. 좌혈은 음택일 경우 봉분의 가장 밑쪽에 위치해서 관 또는 시신을 놓는 곳인데, 좌혈은 땅속 깊은 곳에 위치한 관계로 일일이 파서 살펴볼 수 없다는 난점이 있다. 따라서 산수의 형세를 가지고 감정할 수밖에 없으므로 좌청룡과 우백호는 물론 현무봉과 안산, 그리고 조산의 모양 등을 감안하여 길지 여부를 판단한다.

내용 및 특징

좌혈은 풍만하고 두터운 혈장 속에서 사방의 산들로 둘러싸인 곳을 길격으로 친다. 또 좌청룡과 우백호 모두 유정하고 조산도 조응하는 형국으로 매우 수려하며 뻗어오는 용맥(龍脈)도 첩첩이 쌓여야 하고, 과협(過峽)과 혈장의 좌우로 마치 보내주고 맞이하는 듯한 영송(迎送)의 산들이 연이어져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좌혈의 적합성 판단의 근거는 1445년(세종 27) 하연(河演)과 김종서(金宗瑞), 정인지(鄭麟趾) 등이 헌릉(獻陵) 서쪽에 자리한 세종의 수릉(壽陵)을 살피고 와서 보고한 내용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들은 주산과 사방 봉우리의 조응, 그리고 여러 갈래 수류의 득수와 파구의 방위를 잰 뒤 수릉의 적합성을 아뢰는 상소를 올린다. 입지 적합성의 판단 근거는 지세가 평탄하며 기맥을 간직하고 있고 헌릉과 수릉 모두 기맥을 받아 가운데에 있는 중정의 땅으로서 집과 같은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길지로 판단된다는 내용이다. 아울러 수릉의 위치는 동쪽 헌릉에 비교했을 때 객산의 한 갈래가 아니라 청계산과 구룡산, 대모산을 주봉으로 주맥이 따로 내려 온 한 줄기이니 쓸 수 있다는 설명을 하였다. 또 사방 20보 안에 물이 없으니 수렴의 걱정도 없고, 멀리 수류 또한 환포의 형국이므로 가하다는 내용도 덧붙이고 있다(『세종실록』 27년 4월 4일). 좌혈의 판단은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졌으며, 그것은 조선후기에도 마찬가지 상황이었다.

변천

좌혈에서 좌는 용맥이 들어온 방위 혹은 음택과 양택의 뒤쪽 방위를 의미하는데, 길지의 핵심 처인 혈과 함께 쓰임으로써, 좌혈은 조선전기와 후기 모두 혈의 길흉 판단에서 산수의 형세와 함께 방위도 고려되었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장서(葬書)』
  • 『청오경(靑烏經)』
  • 김두규, 『풍수학사전』, 비봉출판사, 2005.
  • 장성규, 『백두대간의 역사』, ㈜한국학술정보, 2008.
  • 장성규·김혜정, 『완역 풍수경전』, 문예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