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역(南山驛)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남산역 |
한글표제 | 남산역 |
한자표제 | 南山驛 |
상위어 | 중림도(重林道) |
관련어 | 광주도(廣州道), 경기좌도정역찰방(京畿左道程驛察訪), 양천현(陽川縣), 역도(驛道), 속역(屬驛), 역승(驛丞), 찰방(察訪) |
분야 | 경제/교통/육운 |
유형 | 집단·기구 |
집필자 | 홍성욱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남산역(南山驛)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조실록』 6년 2월 5일 |
조선시대 경기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중림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남산역(南山驛)은 고려시대 1061년(고려 문종 15)~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전국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광주도(廣州道)에 소속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경기도 지역의 역도인 중림도(重林道)에 속하게 되었다. 그 뒤 세조대에는 한때 경기좌도정역찰방으로 이속되었다가, 다시 중림도의 속역으로 편제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병지(兵志)」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고려시대에는 양광도의 역도인 광주도에 속한 15개 속역 가운데 하나로 광주목에 위치해 있었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되면서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변천
조선시대에는 건국 직후부터 수도인 한양을 중심으로 기존의 역로를 개편했는데, 특히 세종대에는 동북 지역을 개척하면서 전국적으로 역로를 재조직하였다. 남산역은 그 과정에서 경신역(慶申驛)·석곡역(石谷驛) 등 5개 역과 더불어 중림도에 소속되었으며[『세종실록』 지리지 경기], 부평도호부 양천현에 위치하였다.
세조 연간인 1460년(세조 6)에는 역로가 멀어 순시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역마 또한 곤폐하다는 병조의 지적에 따라 역로를 개편하였는데, 이때 중림도와 동화도(同化道), 양재도(良才道)의 속역들과 통합되어 경기좌도정역찰방에 속하게 되었다(『세조실록』 6년 2월 5일). 그 뒤 성종대에 『경국대전(經國大典)』이 반포되면서 확정된 조선시대 전기의 역도 체제에서 남산역은 다시 중림도에 소속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후기까지 존속하다가,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오늘날의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 일대에 위치하였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