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호(富戶)"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2:25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부호 |
한글표제 | 부호 |
한자표제 | 富戶 |
동의어 | 부농(富農), 부민(富民), 요호(饒戶) |
분야 | 사회/향촌/취락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전국 |
시대 | 조선후기 |
왕대 | 조선후기 |
집필자 | 이규대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부호(富戶)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정조실록』 22년 11월 30일, 『정조실록』 8년 5월 11일 |
조선후기 소농의 자급자족을 넘어서 합리적 농업 경영으로 부를 축적한 계층.
개설
조선후기 부호를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면, 하나는 지주형(地主型) 부농이고 다른 하나는 경영형(經營型) 부농이다. 전자는 지주층으로 농지를 대여하여 지대(地代)를 수취함으로써 부를 축적하는 것을 기본 특징으로 하며, 후자는 농업에 종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농업의 합리적 경영을 모색하여 부를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지주형 부농을 특권적인 지주층으로 간주한다면 경영형 부농은 소생산자적인 농민 계층의 분화 속에서 형성되는 중산층이나 지주층의 소작지를 빌려 경작[借耕]함으로써 부를 축적한 농민층이라 할 수 있다.
내용 및 특징
조선후기 농업은 활발한 농지 개간과 개량 농법의 보급으로 생산력이 증대하면서 커다란 진전을 보였다. 양반 지주층은 진황지(陳荒地)의 개간에서 시작하여 늪지의 간척 등 새로운 농지[新田]를 개발하며 대지주로 성장하였고, 지주층의 토지 겸병과 지주제 확대에 따라 소유지를 잃거나 축소당한 일반 농민들은 농법의 개량을 통해 수확을 증대시켜 활로를 모색했다.
농업 생산력의 발달은 지주제의 변동을 초래하였다. 지주형 부호들은 농지 개간에 필요한 노동력을 백성을 모집[募民]하여 충당하였고, 그 대가로 농민들에게는 경작권 즉 소작권을 제공하였다. 이렇게 형성되는 지주(地主)-전호(佃戶) 관계는 예전의 노주(奴主)와 같은 인신 지배적 성격보다는 경제적인 관계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농업 사회의 변화에 편승한 경영형 부농들은 농업 노동력의 절감과 생산력의 증대에 힘입어 경영 규모를 확대하면서 부를 축적하였다. 이들은 자작농이나 소작농을 막론하고 농업 기술의 개발, 차경지(借耕地)의 확대, 상업적 농업, 임노동자의 고용 등을 통해 생산력을 발전시키고 소득을 증대함으로써 부농으로 성장하였다(『정조실록』 22년 11월 30일).
경영형 부농은 ‘요호(饒戶) 부민(富民)’이라고도 하였다. 이들은 자작농일 경우 토지 소유 규모에서 잉여 생산물의 축적이 가능한 중농층 이상으로 존재할 수 있었고, 광범위한 지역에서 등장하여 하나의 사회 세력으로 주목받았다.
변천
경영형 부농, 즉 요호 부민은 자신들의 재산을 배경으로 신분을 상승시키거나 향직(鄕職)에 진출하여 사회적 입지를 확보해 갔다. 향안(鄕案)을 중심으로 향촌 사회 운영 질서를 모색해 온 기존의 사족 중심의 지배 체제에서 이들은 원납(願納)·납속(納贖) 등으로 신분 상승을 이루었다. 이어서 향안에 입록(入錄)을 시도하여 성사시킴으로써 향원(鄕員)이 되어 향권(鄕權)에 참여했다[『정조실록』 11년 4월 16일].
이들은 종래 향안에 등재되었던 구향(舊鄕)에 비하여 새로이 향안에 입록된 신향(新鄕)으로 대비되면서 하나의 사회 세력으로 부상하였다. 이들은 향촌 사회의 운영 기제였던 향회(鄕會)를 통해 자신들의 의견을 제기하여 공론화하는 형태로 향촌 사회의 운영 질서에 참여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향촌 사회의 각종 지배 기구에 진출하였다.
요호 부민 층은 신분적으로는 반상 및 중인층을 포괄하지만 평민이나 천민도 비중이 높았다. 이들은 원납(願納) 등을 통하여 신분 상승 기회를 얻기도 하였지만(『정조실록』 8년 5월 11일), 19세기에 들어서는 각종 수탈이 이들에게 집중됨으로써 성장을 지속하기 어려웠고 심한 경우 몰락하였다.
요호 부민 중에는 수령권과 유착하여 중간 수탈을 자행하는 계층이 있는가 하면 수령권과 대립적 입장에서 오히려 수탈 대상이 되었던 계층도 있었다. 요호 부민 중 유착 세력은 사회 모순 극복을 위한 주체일 수는 없었지만, 수탈 대상이 되었던 계층은 자체 성장이 가로막히자 그들과 계급적 이해를 함께하는 소빈민층과 함께 농민항쟁의 주도층으로 활약하였다.
참고문헌
- 고석규, 『19세기 조선의 향촌 사회 연구 : 지배와 저항의 구조』,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 김용섭,『조선후기농업사연구』1, 일조각, 1980.
- 김용섭,『조선후기농업사연구』2, 일조각, 1984.
- 권내현, 「18·19세기 진주 지방의 향촌 세력 변동과 임술농민항쟁」, 『한국사연구』89, 1995.
- 안병욱, 「19세기 임술민란에 있어서의 「향회」와 「요호」」, 『한국사론』14, 1986.
- 전경목, 「조선 말기 어느 요호부민가(饒戶富民家)의 신분 상승을 위한 노력 : 전라도 구례현의 ‘절골 김씨’ 고문서를 중심으로」, 『호남문화연구』31,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