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일(剛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2:21 기준 최신판



일진(日辰)의 천간(天干)이 갑(甲)·병(丙)·무(戊)·경(庚)·임(壬)인 날.

개설

조선시대의 국가 오례 중 흉례(凶禮)에 속하는 우제(虞祭)졸곡제(卒哭祭)를 지낼 때 강일에 지냈다. 단, 우제는 유일(柔日)에 지내기도 했다. 유일은 천간이 을(乙)·정(丁)·기(己)·신(辛)·계(癸)인 날이다. 우제의 ‘우(虞)’는 편안히 한다는 뜻으로, 장례를 치른 뒤 우제를 거행하여 방황하는 혼(魂)을 편안하게 한다는 의미이다. 졸곡제는 우제를 마친 뒤 곡을 끝낸다는 뜻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내용 및 특징

전통시대 ‘예(禮)’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등급을 구분 짓는 것이다. 그에 따라 사대부의 상과 세자의 예장(禮葬), 왕의 국장(國葬)에서 우제를 지내는 횟수가 달랐다. 『예기(禮記)』에 사(士)는 삼우(三虞), 대부는 오우(五虞), 제후는 칠우(七虞)까지 제사를 지낸다고 규정되어 있다. 『예기』의 규정이 조선에서는 ‘사’는 ‘사대부’, ‘대부’는 ‘세자’, ‘제후’는 ‘왕’에 해당하였다.

사대부는 초우제(初虞祭)를 지낸 뒤 유일을 만나 재우제(再虞祭)를 지내고 강일을 만나 삼우제를 지냈다. 세자의 예장은 초우제를 지낸 뒤 재우제부터 사우제(四虞祭)까지 유일에 지내고, 오우제(五虞祭)를 강일에 거행하였다. 왕의 국장에서는 초우제를 지낸 뒤 재우제부터 육우제(六虞祭)까지 유일에, 칠우제를 강일에 지냈다. 졸곡제는 사대부의 상, 예장, 국장에서 우제를 지낸 뒤 강일에 지냈다.

『예기』에 보면 바깥에서 하는 일은 강일에, 안에서 하는 일은 유일에 한다고 되어 있는데, 이는 강일이 양(陽)에 해당하고, 유일이 음(陰)에 해당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참고문헌

  • 『예기집설대전(禮記集說大全)』
  • 『가례(家禮)』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 『춘관통고(春官通考)』
  • 이현진, 「碩齋 尹行恁의 禮學과 喪禮 인식 -『泣血錄』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34, 2010.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國葬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27, 2011.
  • 이현진, 「정조대 文孝世子의 喪葬 의례와 그 특징」, 『규장각』40, 201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