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면조(界面調)"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2:19 기준 최신판



전통음악(傳統音樂)에 쓰이는 두 가지 선법(旋法) 중의 하나.

개설

국악의 대표적인 조는 평조(平調)와 계면조(界面調)이다. 이 두 가지 악조는 『악학궤범』에서 향악(鄕樂)의 대표적인 악조(樂調)로 설명되고 있다. 조선전기의 음악을 수록하고 있는 여러 고악보의 향악곡들은 이 두 가지 악조 중 하나이다.

내용 및 특징

계면조는 ‘라-도-레-미-솔’의 5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라’음으로 끝난다. 그중 으뜸음과 둘째 음이 단3도, 둘째 음과 셋째 음이 장2도, 셋째 음과 넷째 음이 장2도, 넷째 음과 다섯째 음도 단3도, 그리고 다섯째 음과 다시 으뜸음과의 간격은 장2도의 음정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세조실록』 권48과 『악학궤범』의 악조총의(樂調總義)에서는 ‘계면조’를 ‘우조’라 칭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5조(調) 가운데 다섯 번째 음인 ‘우’를 기본음으로 하는 5음음계와 동일한데, 이 ‘우’는 서양식 계명(階名)의 ‘라’에 해당하기 때문에 붙여진 선법명(旋法名)이다. 그러나 현재 전해지는 우리나라의 전통 악곡에서는 계면조 본래의 5음음계를 유지하고 있는 곡을 찾아보기 힘들다. 현재 계면조는 대부분 3음 내지 4음을 사용하며, 주음[終止音]이 본래와 같이 음계의 제일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음계의 중간에 위치하는 형태로 변형되어 있다.

변천

조선전기의 대표적인 음악 이론서인 『악학궤범』에 의하면, 7가지의 조가 있으며, 이를 ‘『악학궤범』 칠조(七調)’라고 한다. 그리고 이 칠조에는 각각 평조와 계면조의 두 가지 선법이 있다고 하였다. ‘『악학궤범』 칠조’는 표와 같다.

T00000487 01.PNG

위와 같이 『악학궤범』에서는 일지부터 막조까지 일곱 개의 조를 설명하면서 이를 크게 낙시조(樂時調)와 우조(羽調)로 구분하는데, 이때 횡지(橫指)는 낙시조에도 속하고 우조에도 속한다.

이후 1610년(광해군 2)에 편찬된 거문고 악보인 『양금신보』에는 평조와 우조 두 가지의 조만 나타난다. 이를 통하여 알 수 있는 점은 『악학궤범』 칠조가 200여년 사이에 비교적 단순한 형태로 변천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즉, 『악학궤범』 칠조 중 임종을 주음으로 삼는 조인 삼지가 낙시조를 대표하는 조로, 황종 한 음을 주음으로 삼는 팔조가 우조를 대표하는 조로 남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평조평조(平調平調), 평조계면조(平調界面調), 우조평조(羽平調調), 우조계면조(羽調界面調)의 네 가지만 악곡에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T00000487 02.PNG

계면조는 『대악후보』가 발간된 18세기 이전까지는 5음음계의 라선법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예지』와 『구라철사금자보』가 발간된 19세기 이후로는 황종을 기본음으로 한 5음음계의 계면조가 19세기부터 협종(夾鐘)과 무역(無射)을 쓰지 않는 3음음계의 계면조로 변화되었다.

『양금신보』 이후 전통음악에서 조는 평조와 계면조로 대표된다. 그러나 조선후기 음악적인 감수성의 변화로 인하여 사람들이 낮은 음역보다 높은 음역을 즐기는 경향이 나타났고, 이를 위하여 평조가 서서히 없어지고 우조의 악곡만 남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계면조도 임종이 주음인 평조계면조는 사라지고, 황종이 주음인 우조계면조만 남게 되었다.

참고문헌

  • 『악학궤범(樂學軌範)』
  • 『양금신보(洋琴新譜)』
  • 『대악후보(大樂後譜)』
  • 『유예지(遊藝志)』
  • 『구라철사금자보(歐邏鐵絲琴字譜)』
  • 김영운, 『e-국악아카데미 중 우리음악 길라잡이』, 국립국악원,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