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2:08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불환금정기산 |
한글표제 | 불환금정기산 |
한자표제 | 不換金正氣散 |
상위어 | 의학(醫學) |
하위어 | 감초(甘草), 곽향(藿香), 반하(半夏), 진피(陳皮), 창출(蒼朮), 후박(厚朴) |
관련어 |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
분야 | 문화/의학·약학/처방 |
유형 | 약 |
집필자 | 김호 |
약재 | 창출(蒼朮), 후박(厚朴), 진피(陳皮), 곽향(藿香), 반하(半夏), 감초(甘草) |
약효 | 상한(傷寒)과 시기(時氣)로 인한 두통 및 토사를 치료함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중종실록』 39년 8월 22일 |
사계절 상한과 시기 등으로 인한 두통과 고열 및 기침과 토사의 병증을 치료하는 처방.
개설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은 상한(傷寒)이나 전염병 및 유행병 등으로 인해 머리가 아프고 고열이 나며 허리와 등이 땅기고 한열(寒熱)이 왕래하며 기침과 가래를 토하는 병증, 심하면 토사곽란을 계속하여 피고름이 섞여 나오는 설사[赤白下痢]로 깊어진 증세를 치료한다. 황금을 주어도 바꾸지 않는다는 이름이 붙었을 정도로 이러한 증세에 써서 효과가 좋았던 치료약이다.
『의방유취』「중한(中寒)」조에 한사(寒邪)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고 언급하였고, 『구급이해방』「상한」조에는 상한(傷寒)과 시기(時氣)로 인한 두통과 발열 및 해수와 토사의 병증을 치료한다고 했다. 『의림촬요』는 사계절 상한과 온역 및 시기, 그리고 깊은 산속의 음습한 기운[瘴氣]에 손상되어 오한과 발열이 반복되고 토사곽란이 그치지 않는 병증을 치료한다고 했다. 조선후기의 『급유방』에는 학질은 대개 어른 아이 구분 없이 시기에 감염된 듯한 증상을 보이므로, 한열이 왕래하는 데 반드시 불환금정기산을 처방한다고 했다. 19세기 『의방활투』는 『동의보감』을 인용하여 상한으로 인한 음증(陰症)과 두통 및 한열의 왕래에 처방했다.
제조법
창출(蒼朮) 2돈, 후박(厚朴)·진피(陳皮)·곽향(藿香)·반하(半夏)·감초(甘草) 각 1돈을 썰어 1첩을 만든 후 생강 3편, 대추 2개를 넣어 물에 달여 복용한다.
효능
상한(傷寒)과 장역(瘴疫) 및 시기(時氣) 등으로 두통과 더불어 열이 나고, 한열(寒熱)이 왕래하며 기침과 가래를 토하는 병증을 치료한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중종이 감기 증세로 기침과 함께 두통과 인후통을 호소하자 의관들이 논의하여 불환금정기산을 진어하였다(『중종실록』 39년 8월 22일). 『승정원일기』에는 숙종이 식체(食滯)로 인하여 가슴이 답답한 증세를 보이자 의관들이 불환금정기산을 진어한 기록이 있다. 영조는 비온 뒤 습기(濕氣)에 저촉되어 복부에 결체된 듯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불환금정기산을 복용한 바 있다.
참고문헌
- 『의방유취(醫方類聚)』
- 『구급이해방(救急易解方)』
- 『의림촬요(醫林撮要)』
- 『급유방(及幼方)』
- 『의방활투(醫方活套)』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