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용모화도감(御容模畵都監)"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1:53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어용모화도감 |
한글표제 | 어용모화도감 |
한자표제 | 御容模畵都監 |
상위어 | 어진(御眞) |
하위어 | 도사(圖寫), 모사(模寫), 추사(追寫) |
분야 | 문화/예술/미술 |
유형 | 집단·기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김지영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어용모화도감(御容模畵都監)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숙종실록』 39년 3월 30일, 『숙종실록』 39년 4월 8일, 『숙종실록』 39년 4월 8일, 『숙종실록』 39년 4월 10일 |
조선시대에 왕의 초상을 그리기 위해 설치한 기구인 어용도사도감(御容圖寫都監)의 다른 이름.
개설
조선시대에는 왕의 초상을 어진(御眞) 또는 어용(御容)이라고 했다. 도사(圖寫)란 기왕의 영정을 원본으로 하여 그리는 것이 아니라 국왕의 모습을 보고 그린다는 뜻을 담은 용어이다. 조선시대에 왕의 초상화를 그린 경우는 매우 많은데, 대부분은 중관(中官)이나 왕자·대군 등에게 시켜 사적으로 그리게 했다. 이러한 방식 대신 조정에 왕의 초상을 그리는 임시 기구를 설립하고, 전 과정을 공식적으로 관리한 경우도 있는데 이때 설치한 임시 기구를 어용도사도감 또는 어진도사도감(御眞圖寫都監)이라고 불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어진을 그리기 위해 도감이 설치된 것은 1713년(숙종 39)이 처음이다. 숙종은 이에 앞선 1695년에 조정에 알리지 않고 화원 조세걸(曺世傑)에게 초상화를 그리게 한 후 이를 강화도에 옮겨 보관하게 했다. 강화부에서는 영전(影殿)을 건립한 후 어진을 봉안하고, 정기적인 봉심을 통해 초상화를 관리했는데, 이 초상이 숙종과 거의 닮지 않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숙종실록』 39년 3월 30일). 진면목을 담아내지 못한 구초상 대신에 새로 초상을 그려 봉안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숙종은 새 어진의 초본을 그린 후 대신들에게 보여 전신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게 했다(『숙종실록』 39년 4월 8일). 이것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자 더 좋은 화본을 얻기 위해 화원과 대신들이 임금의 얼굴을 자세히 보고, 그 후에 다시 초본을 그리고 검토·수정하는 절차를 거친 후 정본으로 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 이 일의 중요성을 따져볼 때 도감을 설치하여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처음으로 도감을 설치하게 되었다. 도감을 처음 설치하였을 때 이조에서 올린 명칭은 어용모사도감(御容模寫都監)이었으나 구본을 모사하는 것과 왕을 직접 그리는 것은 다르므로 모사보다는 도사라는 용어가 적절하다는 의견에 따라 어용도사도감이라는 명칭이 확정되었다. 이 명칭이 확정되기 전 도감의 명칭은 어진도사도감 또는 어용모화도감(御容模畵都監)으로 지칭되기도 했다. 어용모화라는 용어는 단 2차례 『조선왕조실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1713년에 2품 이상의 관원에게 어용을 모화한 초본을 내보이고 봉심한 후 의견을 적어 내도록 한 기록과(『숙종실록』 39년 4월 8일) 그림을 잘 아는 김진규에게 어용모화도감의 당상을 제안한 기록 등이다(『숙종실록』 39년 4월 10일).
참고문헌
- 『(숙종)어용도사도감의궤((肅宗)御容圖寫都監儀軌)』
- 『(고종)어진도사도감의궤((高宗)御眞圖寫都監儀軌)』
- 김지영, 「숙종·영조 대 어진도사와 봉안처소 확대에 대한 고찰」, 『규장각』 27, 2004.
- 윤진영, 「장서각 소장 『어진도사사실』의 정조~철종 대 어진도사」, 『장서각』 11,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