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계(上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1:48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상계 |
한글표제 | 상계 |
한자표제 | 上契 |
관련어 | 대동계(大同契), 상계안(上契案), 상하합계(上下合契), 하계(下契) |
분야 | 사회/향촌/계 |
유형 | 집단·기구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이해준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상계(上契) |
조선시대에 상층민과 하층민을 결합한 형태의 대동계에서 그 지배력을 지닌 양반 신분의 조직.
개설
상계(上契)는 17세기 상층민과 하층민을 결합한 상하합계(上下合契) 형태의 대동계(大同契)에서 상층민으로 구성된 계원 조직이다. 상계는 하계(下契)를 통할·지배하였던 양반 신분의 조직이다. 18세기 이후 사족 지배력이 느슨해지면서 촌락도 분화되는데 이 과정에서 사족들의 동계 조직은 관념적인 형태로 남거나 형식뿐인 상태가 되어, 그 영향력의 범위가 사족 간의 상호 부조(扶助)적인 역할로 한정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동계(洞契)나 동약(洞約)은 지연·혈연적 동질성을 가진 촌락의 구성원 전원을 결속하기 위한 계 조직이다. 조선전기의 동계·동약은 대부분 내외 친족이나 유사한 사회적 성향을 지니는 사족들이 모여 사족 중심의 지배력을 강화해 나가려는 목적에서 만들어졌다.
조직 및 역할
상하합계의 대동계에는 규약에 가입의 조건, 운영의 절차와 방식, 재정의 관리, 상호 부조와 규제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그러나 내용을 살펴보면 경제 안정과 동계원의 통제를 통한 상하 신분 질서의 확립이 주된 목적임을 알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구체적으로 상계라는 용어로 촌락 조직의 모습이나 활동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상하합계와 관련된 자료들은 책으로 묶여 전하는[成冊] 고문서 자료에서 많이 전하며, 대개 동헌(洞憲)과 동규(洞規), 좌목(座目)인 동안(洞案), 완의(完議)와 절목 등을 비롯한 동계책(洞契冊)과 치부(置簿)류 고문서 자료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변천
사족들만의 결사체적 성격이 강했던 동계·동약 조직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전후 복구 과정에서, 그리고 관권(官權)의 지방 지배력 강화에 대응하면서 상·하층민이 함께 참여하는 17세기 상하합계 형태의 대동계로 바뀌었다. 상하합계에서 물론 사족들은 그 상층을 구성했고 그 조직이 바로 상계이다.
17세기 상하합계의 대동계는 상·하층민의 일정한 역할 분담을 전제하는 상호 보완적 조직이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는 사족 중심의 향촌 재편과 사족 지배 질서가 와해·동요되던 시기에 그것을 유지·존속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 조직이었으므로 사족들의 요구와 이해를 강요하는 측면도 컸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유향(儒鄕)이 나뉘어 사족의 향촌 지배력이 약화되고, 면리제(面里制)가 정비되는 과정에서 수령권(守令權)이 강화되며, 지방관 주도의 주현향약(州縣鄕約)이 확산되면서 기존의 동계 조직은 그 하부 단위로 편입된다. 이후 사족 지배력의 약화와 촌락의 분화로 인해 사족들의 동계 조직은 관념적인 형태로 남거나 형식뿐인 상태가 되어, 그 영향력의 범위가 사족 간의 상호 부조적인 역할로 한정되었다.
참고문헌
- 박경하, 「18세기 주현향약의 성격」, 『조선후기 향약연구』 , 민음사, 1990.
- 이해준, 「조선후기 동계·동약과 촌락공동체조직의 성격」, 『조선후기 향약연구』, 민음사, 1990.
- 박경하, 「왜란 직후의 향약에 대한 연구: 고평동을 중심으로」, 『중앙사론』5, 1987.
- 이해준, 「조선 후기 촌락 구조 변화의 배경」, 『한국문화』14, 199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