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사(處士)"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0:52 기준 최신판



조선시대 벼슬을 하지 않고 초야에 묻혀 사는 선비.

개설

조선시대에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초야에 묻혀 지내는 지식인을 처사(處士)라고 불렀다. 조선시대 성리학을 교양으로 삼았던 자들에게 관직자의 길과 처사의 길은 그들의 이념을 실천하는 데에 있어 궁극적으로는 하나의 길이었다.

담당 직무

처사는 후학의 양성과 향리(鄕里)의 풍속을 진작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그리고 이들은 비록 관직에 나아가지는 않았으나 상소 형태로 정치적 소견을 올리기도 하였고, 후기 사회에서는 산림(山林)이라는 이름으로 등용되는 제도가 마련되기도 하였다. 이들은 조선 사회에서 학파가 형성되는 한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변천

조선초기에는 관(官) 우위의 정책이 추진되었고, 이러한 사회 분위기에서는 비록 학덕을 겸비한 처사라고 하더라도 우대를 받기 힘들었다. 조선시대에는 성리학의 특징적 요소라고 할 예학(禮學)이 발달하면서 각종 의례에서 관권 우위의 질서가 확립되었으며 의식주 역시 여기에 따라 규정되었는데, 세종대 예조(禮曹)에서는 시향(時享) 복장에 대해서도 주자의 『문공가례(文公家禮)』를 들어 다음과 같이 아뢰었다. 『문공가례』에 "정지(正至)·삭망(朔望)에는 참알(參謁)한다."고 하였고, 그 주(註)에는, "주인 이하는 성복(盛服)한다. 무릇 성복이란 것은 관작이 있는 이는 복두(幞頭)·공복(公服)·대(帶)·화(靴)·홀(笏)을 갖추고, 진사(進士)는 복두와 난삼대(欄衫帶)를 착용하며, 처사(處士)는 복두와 조삼대(皂衫帶)를 착용한다."고 하였다는 것이다(『세종실록』 10년 11월 16일). 이와 같이 처사는 관직에 있는 사람과 차별화 되었다.

그러나 국가 이념인 조선의 성리학이 정착되는 과정에서 4대 사화(士禍)를 겪게 되었고, 이러한 정변을 겪으면서 처사로서의 생활을 지향하는 자들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참고문헌

  • 신병주, 「16세기 처사형(處士型) 사림(士林)의 대두와 학풍」, 『규장각』21, 199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