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석(頂子石)"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0:29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정자석 |
한글표제 | 정자석 |
한자표제 | 頂子石 |
관련어 | 원수(圓首), 장명등(長明燈) |
분야 | 문화/예술/건축 |
유형 | 물품·도구 |
시대 | 조선시대 |
집필자 | 신지혜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정자석(頂子石)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4년 9월 6일 |
왕릉 앞에 놓이는 장명등 맨 꼭대기에 원수(圓首) 모양으로 조각된 마감석.
내용
정자석(頂子石)은 조선시대 왕릉 앞에 놓이는 장명등의 구성 요소 중 맨 꼭대기에 이중의 원수 모양으로 조각된 석재로 개석에 맞춤구멍을 두어 꽂는다. 원구형을 이중으로 조각하고 원구형 아래에 연주(連珠)를 새겨 팔각의 개석 위에 꽂으면 장명등이 완성된다. 1422년(세종 4)에 규정된 정자석은 높이 1자 5치이며 모양이 약간 다른 듯하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기록된 정자석은 높이 2자 5치이며 이중으로 원수 모양을 조각하였다.
그림 장명등-정자석
용례
長明燈頂子石一 (頭圓 下刻爲雲彩) 高一尺五寸 圓徑一尺一寸 蓋石一 (八面雲角) 高二尺五寸 上徑一尺一寸 下徑三尺九寸(『세종실록』 4년 9월 6일)
참고문헌
- 김왕직, 『알기 쉬운 한국건축용어사전』, 동녘, 2007.
- 장기인, 『한국건축사전』, 보성각, 199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