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鉶)"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0:29 기준 최신판



국가 제사 의례에 사용된 주요 제기(祭器)로서 화갱(和羹)을 담는 그릇.

개설

형은 조선시대 국가 제사를 지낼 때 화갱을 담는 데 사용되는 제기였다. 『예서(禮書)』에 ‘형정(鉶鼎)은 국[羹]을 담는 것이요, 형갱(鉶羹)은 오미(五味)를 갖추어 끓인 국이다. 국을 일컬을 때는 형갱이라 하고, 그릇을 지칭할 때는 형정이라 한다.’고 하였다. 또 주희(朱熹)의 제자인 황간(黃幹)의 『의례경전통해속(儀禮經傳通解續)』의 주(注)에 ‘화갱이란 형에 담은 국이니 오미가 조화되고, 날고기의 삶은 것이 적절함을 얻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형은 국을 담는 등(㽅)과 짝을 이루어 각각의 제사에서 동일 수량으로 진설되었고,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지녀서 ‘등’과 함께 거론되었다. 형은 오미를 갖춘 화갱을 담았고, 등은 조미하지 않은 대갱(大羹)을 담았다.

연원 및 변천

중국 고대에서부터 있어온 것으로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다. 중국 고대의 삼례(三禮) 가운데 하나인 『예기(禮記)』에도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형의 연원은 『예기』의 편찬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의 『세종실록』「오례」에 처음으로 도설(圖說)이 확인된다. 이후 성종대의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대한제국 시기의 『대한예전(大韓禮典)』 등 역대 전례서 및 의궤에 등의 도설이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형태

발이 세 개 달린 제기로, 뚜껑이 있다.

300px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종묘의궤(宗廟儀軌)』
  • 『춘관통고(春官通考)』
  • 『대한예전(大韓禮典)』
  • 『예기(禮記)』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