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멱(鼎冪)"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0:27 기준 최신판



조선시대 각종 국가 의례에 사용되는 주요 제기(祭器)로서 솥을 덮는 덮개.

개설

정멱은 희생(犧牲)인 소를 삶는 데 사용하는 우정(牛鼎), 양을 삶는 데 사용하는 양정(羊鼎), 돼지를 삶는 데 사용하는 시정(豕鼎) 등 제기의 덮개이다. 정(鼎)과 늘 함께 사용되므로 정멱이라 통칭되기도 하고, 정의 종류에 따라 우정멱(牛鼎冪), 양정멱(羊鼎冪), 시정멱(豕鼎冪)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정이 희생을 담아 살피는 성생기(省牲器)와 삶은 고기를 올리는 진숙(進熟) 의식에 사용되었으므로 정멱 또한 정을 사용하는 사직과 종묘, 경모궁(景慕宮) 등 국가 제사 의례에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연원 및 변천

1451년(문종 1)에 편찬된 『세종실록』「오례」에 처음으로 정멱의 도설(圖說)이 확인된다. 이후 성종대에 편찬된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에서는 3종의 정마다 그에 부속된 정멱, 우정·양정·시정을 들어 올리는 데 사용하는 막대인 정경(鼎扃), 희생을 건져 올리는 데 사용하는 막대인 정필(鼎畢)을 한 벌로 보여주고 있다. 이와는 달리 정조대의 『춘관통고(春官通考)』에서는 3종 정의 본체만 보여주고, 정멱·정경·정필은 각각 독립된 항목으로 다루고 있다. 『대한예전(大韓禮典)』에서는 우정만 정의 본체와 정멱·정경·정필을 한 벌로 보여주고, 양정·시정은 정의 본체만 보여주고 있다.

『의례(儀禮)』에 ‘멱은 묶은 것 같고 엮은 것 같다’고 하였는데, 그 주(注)에 ‘무릇 정멱은 띠풀[茅]로 만들었는데, 긴 것은 몸체를 묶고, 짧은 것은 그 중간을 엮었으니 대개 올을 촘촘히 해서 기운이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라고 하였다.

형태

정멱은 기(氣)가 새지 않도록 띠풀을 촘촘하게 엮어 만든 타원형의 덮개이다.

300px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
  • 『춘관통고(春官通考)』
  • 『대한예전(大韓禮典)』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