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喪杖)"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0:24 기준 최신판



선왕과 선왕비의 국상 기간 동안 사왕(嗣王)이 사용하는 지팡이.

내용

부모가 죽으면 자식은 죄인으로 하늘을 쳐다볼 수 없기 때문에 짧은 지팡이를 사용하여 허리를 낮춘다. 이 상장(喪杖)은 상복과 더불어 상주임을 드러내는 주요한 표식이다. 그런데 상중에 사용되는 지팡이는 선왕과 선왕비를 구분하여 만들었다. 전자에 쓰는 지팡이는 대나무[竹]로 만들고 후자의 경우 오동나무[桐]로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양자 간에 차별을 둔 것이다. 선왕의 국상에 사용되는 저장(苴杖)은 대나무로 만드는데, 이것은 대나무의 둥근 모습이 하늘을 본뜬 형상으로, 아버지는 아들에게 하늘과 같은 존재이기 때문이었다. 또 대의 안팎에 있는 마디는 아들의 슬픔을 표시한 것이고, 대나무가 사시(四時)에 변하지 않는 것은 아들이 아버지를 사모하는 마음이 덥고 추운 날씨에도 변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선왕비를 위한 삭장(削杖)에 오동나무[桐]를 쓰는 것은 자식의 마음속의 슬픔이 아버지와 같다[同]는 뜻을 취한 것이었다. 그렇지만 집안에서 아버지와 어머니 두 분을 모두 높일 수 없기 때문에 어머니가 지아비에게 굴종하는 모습으로 깎아서 네모지게 만든 것이었다. 이러한 상장의 제도는 기본적으로 『주자가례』의 내용을 기준으로 약간의 가감을 거쳐 『세종실록』「오례」 흉례조에 처음 정리되었다. 이후 성종대 편찬된 『국조오례의』 흉례조에 세종대의 의식이 그대로 수록됨으로써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쳐 준용되었다.

용례

喪杖以大竹 裹以白布 左右掇以紙花 長至四五尺 此亦未知何所據而製也(『선조실록』 31년 6월 24일).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주자가례(朱子家禮)』
  • 『춘관통고(春官通考)』

관계망